내가 조선의 법궁이다!

시민기자 이한웅

발행일 2021.02.09. 11:00

수정일 2021.02.09. 15:53

조회 1,622

은빛 물감으로 그려진 경복궁

경복궁은 1395년 창건된 조선왕조의 법궁(法宮)이다. 법궁은 임금이 사는 궁궐을 뜻한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 1867년 (고종 4년) 때에 중건되었고 일제 강점기에 근정전 등 일부 건물 외 대부분의 건물이 철거되었다. 1990년부터 복원사업이 추진되어 현재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향원정 등 일부 보수 및 복원 작업을 하고 있다. 경복궁은 북악산을 배경으로  서쪽으로 인왕산, 동쪽으로 낙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궁을 둘러싸고 있는 높은 담장 궁성과 정문 광화문 외 3개문 (영추문, 신무문, 건춘문)이 있고 정전 (근정전), 편전 (사정전), 침전 (강녕전, 교태전), 자경전, 경회루, 동궁. 건청궁, 집옥재, 태원전 영역 등의 건축물로 구성되어 있다. 전날 밤 눈이 많이 내려 아침 일찍 찾아간 경복궁의 겨울 풍광에는 고궁의 멋과 아름다움으로 가득했다.
홍례문, 근정문, 근정전, 경회루가 흰 눈에 쌓여 아름다운 은빛 풍경을 자랑한다 ⓒ이한웅
홍례문, 근정문, 근정전, 경회루가 흰 눈에 쌓여 아름다운 은빛 풍경을 자랑한다 ⓒ이한웅
북악산 팔각정과 국립민속박물관 풍경  ⓒ이한웅
북악산 팔각정과 국립민속박물관 풍경 ⓒ이한웅
경복궁 정문, 광화문에서 궁궐의 문을 지키는 수문장
경복궁 정문, 광화문에서 궁궐의 문을 지키는 수문장 ⓒ이한웅
근정문 위에서 바라본 수문장과  홍례문
근정문 위에서 바라본 수문장과 홍례문 ⓒ이한웅
조선시대 장수와 군사가 궁궐 안에 들어가 직숙하는 입직 근무 의식을 하고 있다. ⓒ이한웅
조선시대 장수와 군사가 궁궐 안에 들어가 직숙하는 입직 근무 의식을 하고 있다. ⓒ이한웅
근정전 월대 위에서 바라본 근정문과 품계석
근정전 월대 위에서 바라본 근정문과 품계석 ⓒ이한웅
왕의 집무실 편전 사정전 우측에 있는 만춘전
왕의 집무실 편전 사정전 우측에 있는 만춘전 ⓒ이한웅
왕이 신하에게 연회를 베풀거나 외국 사신을 접대하던 경회루 ⓒ이한웅
왕이 신하에게 연회를 베풀거나 외국 사신을 접대하던 경회루 ⓒ이한웅
경회루 연못의 정자와 나룻배
경회루 연못의 정자와 나룻배 ⓒ이한웅
팔우정, 집옥재 및 협길당은 서재와 외국 사신 접견소로 사용하였다. ⓒ이한웅
팔우정, 집옥재 및 협길당은 서재와 외국 사신 접견소로 사용하였다. ⓒ이한웅
왕의 처소 장한당 및 추수부용루
왕의 처소 장한당 및 추수부용루 ⓒ이한웅
건청궁 정문에서 바라본 초양문과 은빛 마당 ⓒ이한웅
건청궁 정문에서 바라본 초양문과 은빛 마당 ⓒ이한웅
집경당의 아름다운 단청과 은빛 마당
집경당의 아름다운 단청과 은빛 마당 ⓒ이한웅
설경 속에서 바라본 국립민속박물관
설경 속에서 바라본 국립민속박물관 ⓒ이한웅
집경당 방향으로 걸어가는 관광객
집경당 방향으로 걸어가는 관광객 ⓒ이한웅
왕비의 침전, 교태전
왕비의 침전, 교태전 ⓒ이한웅
기와지붕의 추녀마루 위에 흙인형, 잡상들
기와지붕의 추녀마루 위에 흙인형, 잡상들 ⓒ이한웅
조선 후기에 중건된 경복궁의 동쪽 문, 건춘문 앞에 설원이 펼쳐져 있다.
조선 후기에 중건된 경복궁의 동쪽 문, 건춘문 앞에 설원이 펼쳐져 있다. ⓒ이한웅
경복궁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건축물 근정전은  국가의 공식 행사를 치르던 곳이다.
경복궁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건축물 근정전은 국가의 공식 행사를 치르던 곳이다. ⓒ이한웅

■ 경복궁

○ 위치 : 서울 종로구 사진로 161
○ 운영시간 : 09:00 ~ 17:00 (야간관람 19:00 ~ 21:30)
○ 휴무일 : 매주 화요일
○ 입장료 : 성인 3,000원
홈페이지 : http://www.royalpalace.go.kr/

시민기자 이한웅

서울시 정보 및 정책, 역사등을 다양한 앵글과 시선으로 프레임에 담아 보겠습니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