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겨울왕국 되던 날
발행일 2021.01.25. 09:42
간밤에 함박눈이 내려 눈 속의 고궁을 찾아 아침 일찍 창덕궁으로 향했다. 영하의 날씨에도 햇살은 눈을 녹이기에 충분함을 한 번 경험했기에 조금 서둘렀다.
이번에는 관람 시작 시간에 맞춰 입장했다. 눈 덮인 궐내각사의 다양한 건물과 인정전 그리고 선정전을 살펴보고 대조전 권역에 들어섰을 때 이미 대조전의 남사면 지붕은 눈이 다 녹아 없어 아쉬웠다. 다음에 또 찾아야 할 이유라 합리화하면서 창덕궁의 겨울 풍경을 계속해서 카메라에 담았다. 희정당 권역도 보수 공사 중이라 제대로 관람할 수 없었으니 다시 찾아올 이유가 하나 더 늘어난 셈이다.
창덕궁은 600년 전인 1405(태종5)년, 경복궁의 이궁으로 창건됐다. 임진왜란 때 다른 모든 궁궐과 함께 창덕궁도 불타 버린다. 전란이 끝나고 법궁인 경복궁의 터가 풍수지리적으로 불길하다는 이유로 재건되지 않았고 당시 이궁이었던 창덕궁이 1610(광해군2)년 먼저 복구된다. 이후 1865(고종2)년 경복궁이 재건되기까지 270여년간 창덕궁은 조선후기 법궁의 지위를 누리게 된다. 그러나 화재로 인한 소실, 증축 및 재건, 특히 일제 강점기 계획적 훼손으로 궁궐의 왕실문화는 사라져 간다.
해방 이후에도 비슷한 상황을 이어가던 창덕궁은 지금도 지속적인 복원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으로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창덕궁은 한국 전통 조경의 특성과 아름다움을 간직한 세계적 정원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영하의 날씨와 코로나19 상황도 녹록지않은 가운데 부지런한 출사객과 겨울왕국에서 인증사진을 담으려는 관람객이 창덕궁을 찾았다. 올 겨울이 끝나기 전에 다시 한번 눈 덮인 창덕궁을 기대하며 잠시 겨울왕국이 되어 버린 창덕궁을 소개한다.
이번에는 관람 시작 시간에 맞춰 입장했다. 눈 덮인 궐내각사의 다양한 건물과 인정전 그리고 선정전을 살펴보고 대조전 권역에 들어섰을 때 이미 대조전의 남사면 지붕은 눈이 다 녹아 없어 아쉬웠다. 다음에 또 찾아야 할 이유라 합리화하면서 창덕궁의 겨울 풍경을 계속해서 카메라에 담았다. 희정당 권역도 보수 공사 중이라 제대로 관람할 수 없었으니 다시 찾아올 이유가 하나 더 늘어난 셈이다.
창덕궁은 600년 전인 1405(태종5)년, 경복궁의 이궁으로 창건됐다. 임진왜란 때 다른 모든 궁궐과 함께 창덕궁도 불타 버린다. 전란이 끝나고 법궁인 경복궁의 터가 풍수지리적으로 불길하다는 이유로 재건되지 않았고 당시 이궁이었던 창덕궁이 1610(광해군2)년 먼저 복구된다. 이후 1865(고종2)년 경복궁이 재건되기까지 270여년간 창덕궁은 조선후기 법궁의 지위를 누리게 된다. 그러나 화재로 인한 소실, 증축 및 재건, 특히 일제 강점기 계획적 훼손으로 궁궐의 왕실문화는 사라져 간다.
해방 이후에도 비슷한 상황을 이어가던 창덕궁은 지금도 지속적인 복원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으로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창덕궁은 한국 전통 조경의 특성과 아름다움을 간직한 세계적 정원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영하의 날씨와 코로나19 상황도 녹록지않은 가운데 부지런한 출사객과 겨울왕국에서 인증사진을 담으려는 관람객이 창덕궁을 찾았다. 올 겨울이 끝나기 전에 다시 한번 눈 덮인 창덕궁을 기대하며 잠시 겨울왕국이 되어 버린 창덕궁을 소개한다.

학자수(Scholar Tree)라 불리는 회화나무가 돈화문 뒤로 보인다 ⓒ양인억

금천교 너머로 보이는 진선문 ⓒ양인억

월대 위의 돈화문 ⓒ양인억

궐내각사 지붕 사이로 보이는 인정전 ⓒ양인억

내의원 지붕과 담장 사이로 보이는 하늘 ⓒ양인억

금천교 교각 위에서 궁궐을 지키고 있는 산예 ⓒ양인억

역대 임금의 어진을 모신 선원전 ⓒ양인억

소복이 싸인 담장 너머로 보이는 영의사 ⓒ양인억

겨울왕국으로 변한 창덕궁 ⓒ양인억

소복이 싸인 하얀 눈 속에서 더욱 돋보이는 인정전의 화려한 단청 ⓒ양인억

숭법문을 통해 본 궐내각사의 겨울 풍경 ⓒ양인억

눈 덮인 인정전의 조정과 서쪽 행각 지붕 ⓒ양인억

겨울왕국으로 변한 인정전 ⓒ양인억

삼도로 이어진 창덕궁의 정전, 인정전 ⓒ양인억

인정전 내부 전경 ⓒ양인억

궁궐 나무의 겨울나기 ⓒ양인억

선정전에서 선평문을 통해 본 모습 ⓒ양인억

선정정 행각 너머로 보이는 인정전 ⓒ양인억

선정전 담장, 천랑 그리고 인정전 ⓒ양인억

선평문 사이로 보이는 대조전 ⓒ양인억

사면 모두 행각으로 둘러싸여 아늑한 대조전 ⓒ양인억

대조전과 복도각으로 연결된 경훈각 ⓒ양인억

한 겨울의 낙선재 ⓒ양인억

낙선재 소나무 화계 ⓒ양인억

소나무 사이로 보이는 승화루 현판 ⓒ양인억
■ 창덕궁
○ 위치 : 서울 종로구 율곡로 99
○ 운영시간 : 매일 09:00 ~ 18:00
○ 홈페이지 : http://www.cdg.go.kr/default.jsp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