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미니 정원 만들기

시민기자 서형숙

발행일 2014.04.03. 00:00

수정일 2014.04.03. 00:00

조회 3,864

테라리움

[서울톡톡] 가족과 함께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가족프로그램에 참가했다가 <테라리움-Terarium)>이라는 것을 만들어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테라리움은 입구가 작은 유리병 안에 색색의 모래들을 용기 밑에 깔고 흙을 채운 후 식물을 심은 후에 그 위에 자갈이나 숱을 얹어 꾸며주는 것을 말한다.

테라리움에서 자라는 식물은 실내의 약한 광선을 받아 광합성을 하여 호흡하게 된다. 양분은 수분과 함께 용기 안의 흙에서 흡수하고, 물은 증발하여 다시 흙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순환작용에 의해 식물은 양분과 물을 거의 자급자족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일반 화분 속에 심겨진 화초처럼 매일 물을 준다거나 생육에 따른 비료나 영양분을 따로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테라리움 만들기- 색색의 돌가루를 컵에 보기 좋게 배합하여 깔아준 후 흙을 담고 식물을 심는다. 식물에 묻어있는 흙이나 돌가루를 붓이나 면봉을 이용하여 털어내면 된다.

테라리움은 작은 용기에 식물을 심어야하기 때문에 섬세한 손놀림과 함께 몇 가지 도구가 필요하다. 바로 유리그릇, 나무젓가락, 플라스틱 숟가락, 붓, 핀셋 등이다. 붓의 경우는 좁은 공간 안에 식물을 심다 보면 흙먼지가 묻을 때 이를 이용하여 털어낼 수 있다. 핀셋의 용도는 작은 식물을 집어서 용기 속에 집어넣을 때나 심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섬세한 작업에 큰 도움이 된다.

(좌)테라리움 만들기 체험.(우) 테라리움 완성

테라리움에 주로 이용할 수 있는 식물의 종류로는 다육식물이 적합하다. 하지만 놓는 장소와 채광에는 유의해야 한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양분이나 농약 등을 따로 제공해 주지 않는 대신 놓는 장소와 채광에는 유의해야 한다.

직사광선이 닿는 곳이나 어두운 곳에 두면 용기 내부가 고온이 되어 식물이 말라죽을 수 있다. 또 광합성 부족으로 잎의 황화를 초래하게 된다. 바닥에 숯을 깔면 물을 정화시켜 용기 내 부패를 막을 수 있다.

이런 주의사항만 잘 지키면 테라리움은 만들기도 손쉽고 재료를 구하는데도 까다롭지 않아 집안의 봄 분위기를 더욱 화사하게 느낄 수 있다.

곧 있으면 식목일이다. 나무 심을 마당도 없고 텃밭을 가꿀 옥상 또한 없다면 이렇게라도 작은 식목일을 실천해보는 건 어떨까.

간편구독 신청하기   친구에게 구독 권유하기

#테라리움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