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한 마디 몰랐던 그녀가...
on세상e서울
발행일 2011.04.18. 00:00
한국 생활 5년차인 도티란앵(29)씨는 2006년 6월 베트남에서 친구의 소개로 남편 서정현(39)씨를 만났다. 결혼을 하고 한국에 왔지만, 2년 가까이 집 밖으로 나가지 못했다. 낯선 환경, 어려운 한국말이 그녀를 겁에 질리게 했다. “서울은 너무 복잡했어요. 지하철도 못 탔어요. 어느 쪽으로 타야하는지 몰랐죠. 한국 사람들의 시선이 무서워 지리를 물어보지도 못했어요. 친정엄마가 보고 싶어 매일 전화를 하고 울었어요."
그녀의 한국생활은 서울 동대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한국어를 배우면서 바뀌어갔다. "센터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문화체험을 했어요. 말 좀 익숙해지면서 어려워만 보였던 지하철 타는 것이 왜 그렇게 쉽게 느껴지던지…."
그녀는 하루 5시간을 자며 공부에 매달렸다. "어디를 가든지 사전을 꼭 가지고 다녔어요." 그녀의 한국어 사전은 손때가 까맣게 묻어있다. 남편의 한국어·베트남어 사전도 손때가 묻었다. 서로 사전에서 낱말을 찾아 공책에 썼다. '공책대화'는 시부모도 같이 했다. 이젠 능숙해진 한국어로 시장에서 물건도 잘 깎는다. 안 깎아주면 덤이라도 달라고 우긴다고 한다.
2009년 11월에는 도티란앵씨에게 주민등록증이 생겼다. 시부모는 "막내 며느리가 드디어 한국 사람이 됐다"고 기뻐했다. 한국인이 된 도티란앵씨는 가족들이 모이는 것을 좋아한다. 1년에 한번 해남 진도의 제사에 간다. 그 곳에서는 50명의 친척이 모여 제사를 지낸다. “어르신들이 내가 웃는 모습이 귀엽다며 용돈을 주셨어요. 이젠 딸 하늘이에게 용돈이 갑니다.” 그녀는 시골에 한번 다녀오면 20만원의 용돈이 생긴다고 말했다. 시골에 가는 차비나 제사비용은 다 시부모가 부담한다. 그녀는 용돈 받는 재미가 쏠쏠하다며 자주 제사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웃는다.
그녀는 올 2월부터 다문화센터에서 통역과 다문화 가정 상담역을 맡았다. 정규직으로 일을 하고 한 달에 100만원을 받는다. 외국인 상담 콜센터에 이어 두 번째 직장이다.
한국 생활 5년차, 한국어 한 마디 몰랐던 그녀는 다문화센터에서 '도티란앵 선생님'이라 불린다.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