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잘 잡히는 곳, 어디일까?
서울톡톡
발행일 2014.06.17. 00:00
[서울톡톡] 택시를 잡지 못해 발을 동동 거리던 기억, 누구나 있을 것이다. 서울시는 요일·시간·날씨별로 택시가 잘 잡히는 곳을 빅데이터로 분석, '택시 매치메이킹(match-making)'이라는 이름의 공공데이터로 개방한다. 택시 매치메이킹은 택시 승하차 정보, 기상정보 등 300억 건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정해진다.
택시 매치메이킹 데이터를 데이터셋(Dataset) 형태로 서울열린데이터광장(http://data.seoul.go.kr)에 개방하면 ▶포털사이트 업체, 내비게이션 업체, 개인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활용해 홈페이지나 앱으로 개발, ▶시민들이 이것을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택시기사는 '승객 태우기 쉬운 곳'을 쉽게 찾을 수 있어 빈 차로 돌아다니는 일이 줄고, 승객들은 '택시 잘 잡히는 곳'을 이용함으로써 택시를 잡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를 일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이와 같이 다양한 빅데이터를 분석해 시민생활에 유용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이 될 '서울형 빅데이터 공유·활용 플랫폼 구축사업'에 참여할 수행 업체를 모집한다.
선정된 사업자는 택시매치메이킹 이외에도 ▲교통사고 감소 정책지원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운영 컨설팅 등 시민에게 도움이 되는 교통 관련 서비스를 개발하게 된다. 그밖에도 대용량 빅데이터 분석·활용을 위한 인프라도 구축한다.
세 영역과 관련해 사업자는 서울시, 민간기업,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법인 및 개인택시 탑승 데이터 ▲교통사고 내역(위치, 원인, 피해상황 등) 데이터 ▲교통안전 시설물 데이터 ▲기상 관측 데이터 등 데이터를 활용·분석한다.
'교통사고 감소 정책지원 시스템'은 교통사고 내역, 운전자 운행 패턴, 교통안전 시설물 등 데이터를 융합·분석해 교통사고 발생 패턴을 도출해낸 자료를 서울시 교통정책 부서에서 교통사고 감소 정책 활용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장애인 콜택시 운영 컨설팅'은 장애인 콜택시 운영 데이터를 분석해서 신체 활동이 불편한 장애인의 택시 대기시간을 줄이고, 관련 부서에서는 계절·시간대별로 콜택시를 어느 규모로 운영해야 할지 고려해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기대할 수 있다.
시는 6월 16일(월)부터 20여 일간 홈페이지 입찰공고를 통해 제안서를 접수하고 7월 초 제안서 평가회의를 거쳐 최종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문의 : 02-2133-2973, 2317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