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감독자 이력관리로 돌발상황 대응, 부조리 차단

서울톡톡

발행일 2014.04.25. 00:00

수정일 2014.04.25. 00:00

조회 1,067

공사

[서울톡톡] 서울시가 위탁한 시 발주공사를 관리·감독하는 서울시설공단의 5개 분야 총 150여 명의 공사감독자에 대한 이력관리가 보다 철저해지고 체계화된다. 공사에 대한 관리·감독이 제대로 이뤄지려면 공사감독자의 전문적인 역량을 최대한 활용하고 책임감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취지에서다.

공사감독자가 그동안 어떤 종류의 공사를 감독했고 어떤 시공사 또는 현장대리인과 같이 일한 적이 있는지를 전산으로 관리해 현장에 인력을 배치할 때 손쉽게 검색해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서울시설공단은 지난 2000년부터 서울시가 발주하는 200억 원 미만 공사 중 시가 위탁한 공사에 대한 감독을 수행하고 있으며, 작년 한 해 총 560건의 공사를 위탁 감독했다. 현재 ▴토목 ▴조경 ▴전기 ▴기계 ▴건축 등 5개 분야 총 150여 명의 공사감독자가 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설공단은 '공사감독 이력관리 시스템'을 구축,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전문가 인력풀 안에서 분야별 경험과 이력을 최대한 고려해 현장에 우선 배치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에도 이력을 고려해 감독자를 배치했지만 이번 시스템 구축을 통해 인력 배치를 제도화해 정확도를 높인다는 것이다.

시는 공사감독 외에 설계변경·기술심의 위원을 선정할 때도 공사감독 경험이 있는 직원을 우선 배치할 예정이다. 예컨대, 앞으로는 시에서 상수도 공사를 발주하면 공단에서 이력관리 시스템에서 검색, 과거에 관련 공사를 감독한 경험이 풍부한 직원을 우선적으로 지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서울시설공단은 2009년부터 5년간의 공사감독 자료를 분석하고 전산화해서 공사감독 직원별로 ▴공사종류 ▴시공사 ▴현장대리인 ▴공사 관련 특허 및 신공법 등을 망라해 시스템에 반영했다.

시스템이 가동되면 공사감독 직원은 자신의 전문 분야를 특화시켜 업무역량을 극대화하고 공사 중 돌발상황이나 시민 민원이 발생했을 때도 더 신속하게 대처하는 등 공사현장을 보다 조직적·전문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시스템 구축을 통해 과거에 같이 일했던 시공사나 현장대리인과 동시·연속·중복해 근무하는 것을 최대한 배제하는 제도적 장치도 마련했다. 공사 관계자와 아는 사이라는 이유로 공사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조리를 사전에 막는다는 것이다.

문의 : 서울시설공단 공사감독1처 02-2290-6911

간편구독 신청하기   친구에게 구독 권유하기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