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변 버스정류소 내년 봄까지 일대 변신!

서울톡톡

발행일 2013.04.24. 00:00

수정일 2013.04.24. 00:00

조회 3,335

[온라인뉴스 서울톡톡] 서울시가 시설이 노후할 뿐 아니라 비나 눈이 오면 제대로 피할 곳도 없어 불편하던 가로변 버스정류소를 내년 3월까지 최첨단 기능을 갖춘 정류소로 대폭 개선한다. 즉 현재 중앙버스정류소 수준으로 업그레이드 한다는 것.

시는 지붕과 의자가 있는 표준형 승차대를 설치하고, 버스가 언제 도착하는지 한눈에 볼 수 있는 버스도착안내단말기(Bus Information Terminal, BIT)는 물론 교통약자를 위한 점자블럭, 음성인식 버스 정보안내, 발광형 개량 노선도도 설치한다.

아울러, 가로변 버스정류소 내 와이파이(WiFi)존을 대폭 확대하고, IT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유지관리 체계도 구축한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서울시 가로변 버스정류소 개선사업'을 오는 5월부터 서울시내 모든 가로변 버스정류소 5,712개소를 대상으로 개선에 들어가 2014년 3월까지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서울엔 총 1만 5,74개 버스정류소가 있는데 이 중 가로변 정류소가 5,712개로 가장 많고, 중앙버스정류소가 326개, 마을버스 정류소가 4,536개 있다. 이 중 중앙버스정류소의 경우 2004년 이후부터 설치돼 이미 최첨단 기능을 갖춘 승차대가 763개나 있지만 가로변 정류소의 경우는 1997년부터 일부 정류소인 1,489개소(전체 26%)에만 설치되고 기능 또한 단순 대기 기능에 머물러 있다.

서울시가 직접 관리하는 중앙버스정류소와는 달리 가로변 정류소 승차대는 민간사업자의 관리로 상업성 유무를 중심으로 입지선정이 이뤄져 지역간 격차가 크고 보급률도 저조한 상황이다.

이에 서울시는 하루 평균 456만 5,000명(2012년 기준, 시내버스 이용객)의 시민이 이용하는 서울의 대표 대중교통인 버스 이용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서울시내 가로변정류소에 대한 대대적인 개선작업에 들어간다.

'서울시 가로변 버스정류소 개선사업'은 ▴9개 유형 표준형 승차대 3,808개 설치 ▴버스도착안내단말기(BIT) 2,384개 설치 ▴교통약자 위한 점자블럭, 점자 안내판, 음성인식 버스 정보안내, 발광형 개량 노선도 설치 ▴태양광 발전 설비 530개소 구축 ▴와이파이(WiFi)존 대폭 확대 ▴실시간 관리를 위한 중앙관제센터 구축 등으로 이뤄진다.

먼저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따라 자체개발한 9개 유형의 표준형 가로변 정류소 승차대를 보도 폭 2.4m가 확보되는 총 3,808개 정류소에 설치한다. 이렇게 되면 가로변 정류소 승차대는 현재 정류소의 26.1%에서 66.7%로 확대된다.

또 승객수요를 고려해 주요 가로변 승차대 2,384개소에 실시간 버스 도착정보가 표출되는 거치형 버스안내단말기(BIT)를 설치해 시민들이 버스가 언제 도착할지 미리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400개소에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터치형 버스안내단말기(BIT)도 설치될 예정이다. 터치형 버스안내단말기(BIT)는 시력이 약한 노약자를 위해 시인성이 좋은 LCD 스크린을 통해 실시간 도착정보를 제공하고, 시각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인식 버스 정보안내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뿐 아니라 날씨, 관광, 시정안내 등 생활정보를 함께 제공하며, 120다산콜센터와의 연결망, T-머니 충전을 위한 모바일 카드 충전기도 설치된다.

교통약자 위한 개량형 버스노선도, 점자블록, 점자 안내판 등 설치

승차대가 설치되는 3,808개 가로변 정류소엔 일반 보행자는 물론 교통약자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각종 편의시설이 들어선다. 먼저 승차대 내에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한 개량형 버스노선도(지도형 노선+버스 노선도)가 설치된다. 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과 점자 안내판도 설치된다. 점자 안내판의 경우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의 시각지원 보조시설 디자인을 준수한 안내판을 설치 할 계획이다.

조명‧형광표지판도 설치해 야간에도 운전자와 보행자가 승차대를 명확히 인식 할 수 있도록 한다. 서울시는 일조량이 풍부한 530개소 승차대 지붕에는 태양광 발전 설비를 구축해 승차대 운영 전기를 일부 자체 조달하도록 친환경 설계를 적용한다.

이뿐 아니라 승차대 내 와이파이(WiFi)존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며, 유지관리에 있어서도 IT를 기반으로 한 최첨단 모니터링을 위해 서울시 교통정보센터(TOPIS)내에 중앙관제센터 서버를 구축해 실시간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문의 : 도시교통본부 버스정책과 02-2133-2296

간편구독 신청하기   친구에게 구독 권유하기

#버스 #버스정류소 #시설개선 #노선도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