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TV, 전화 한 통이면 가져가
서울톡톡
발행일 2013.03.14. 00:00
인터넷과 전화 신청 후 수거해가는 시스템으로 여성과 어르신, 바쁜 직장인 배려
[서울톡톡] "세상 좋아졌어. 전화 한통이면 모든 것이 해결돼. 그것도 무료로 말이야. 고장난 세탁기를 버리려고 구청에 전화했는데 와서 깨끗하게 가져갔어. 돈도 안 들고, 알아서 처리해주니 정말 좋더라고!" 서초구에 거주하는 김정미씨 얘기다.
독산동에서 자취를 하는 이현정씨는 "무거운 아날로그 TV를 처리하는 것이 힘들어서 주말에 친구를 부르려 했는데, 인터넷으로 신청만 하면 무료로 수거까지 해주니 정말 편리했어요!"라며 한참이 지나도 방 한쪽에 둘 수밖에 없었던 TV 처리 문제에 만족해했다.
서울시가 지난 2012년 6월부터 전자산업환경연합회와 함께 추진한 '대형폐가전 무료방문수거 서비스' 사업 모델이 시민 편의 증진은 물론 전자제품의 재활용을 통한 환경보전과 자원 절약의 효과가 톡톡히 인정받아, 오는 4월부터 전국으로 확산된다.
시는 지난해 6월부터 대형폐가전을 버리려면 수수료를 내고, 스티커를 구매, 부착해 지정된 장소까지 운반해야만 했던 수거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 가정에서 인터넷(www.edtd.co.kr)이나 전화(1599-0903)로 예약만 하면 원하는 시간에 맞춰 방문해 무료로 수거하는 '도어 투 도어(Door to Door)'형식의 '대형폐가전 무료방문수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여성 혼자 사는 가정이나 힘이 약한 어르신 분들은 물론, 출퇴근으로 바쁜 직장인을 배려하기 위해 미리 문자 서비스를 통해 일정을 조정할 수 있는 맞춤형 제도이기도 하다.
■ 대형폐가전 무료방문수거 서비스 체계도
자원 재사용율 높이고, 알루미늄 등 금속자원 회수로 온실가스 1,700톤 감축
지난 2012년 6월부터 12월까지 서울 전 지역 대형폐가전 무료방문 수거 사업을 추진해 냉장고 10,035대, 세탁기 2,475대, 에어컨 719대, TV 18,482대, 기타 7,127대 등 총 38,838대(1,523천톤)가 회수됐다.
삼성, LG 등 대기업을 포함한 125개 전자제품 생산자간 상생협력에도 적극 나서고 있어 시민의 비용 절감이나 편의 증진뿐만 아니라 환경적으로도 장점이 있다.
실제로 사업 실시 전에는 수수료를 아끼기 위해 무단으로 폐가전제품을 투기하는 등 수거된 냉장고의 원형 보존율이 20% 정도였던 반면, 시범사업 결과 90%의 냉장고가 원형 보존됐고, 이로 인해 훼손 시 발생하는 냉매로 인한 환경오염을 대폭 줄이는 효과를 얻었다.
자원의 재사용을 높이는 것은 물론 철, 구리, 알루미늄 등 금속자원 회수로 온실가스는 약 1,700톤이 감축됐으며, 이는 에너지 220 TOE 등을 절감하는 효과를 거둬 '원전하나줄이기'에도 기여했다.
이밖에 서울시와 전자산업환경연합회는 협약을 통해 지자체가 수거한 폐전기․전자제품을 리사이클링센터 처리 후 발생 수익금의 일부를 자치구 저소득층에 쌀 2,000포(6천만원 상당)를 지원해 대형폐가전의 친환경 처리를 통해 이웃 사랑과 행복 나눔의 훈훈함을 더하는 일석이조의 성과를 거뒀다.
서울시는 앞으로 리사이클링센터 처리 후 발생 수익금을 나눌 수 있는 다양한 기부 프로그램을 개발해 사회공헌 활동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고, 향후 전량 파쇄, 분쇄 처리됐던 폐전자제품을 수리 가능한 제품들은 선별해 리폼하고 그 제품들은 사회취약계층에 무상 제공하는 계획도 추진할 예정이다.
문의: 자원순환과 02-2133-369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