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스 아껴 사이버머니 모으자!

하이서울뉴스 조미현

발행일 2012.02.06. 00:00

수정일 2012.02.06. 00:00

조회 2,160

고척2동주민센터에 설치한 태양광 발전시설

6개월 단위 온실가스 감축실적 평가, 감축 온실가스 사이버머니로 사고 팔아

[서울시 하이서울뉴스] 탄소배출권 거래사업에 참여할 서울의 공공기관과 민간사업장을 모집한다. 탄소배출권거래제란 공공기관과 기업이 각각에 맞게 온실가스 배출 허용량을 할당받고 이보다 많이 배출한 기관과 기업은 초과 배출량만큼 온실가스 배출을 적게 한 기관·기업으로부터 배출권을 사도록 하는 환경보호제도다. 서울시는 2015년 '국가탄소배출권거래제' 시행에 앞서 선행학습 성격의 '서울시 탄소배출권거래제'를 마련해 2010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서울시 탄소배출권거래제'에 가입하면 전기, 가스 등 에너지 사용량을 온실가스 배출량으로 환산한 기준배출량을 서울시로부터 할당받는다. 이후 에너지 절약, 시설개선 등 각종 온실가스 감축활동을 전개하고 나서 6개월 단위의 정기적인 평가를 거쳐 감축한 온실가스를 가상거래공간(http://www.meets.or.kr)에서 사이버머니로 사고 팔 수 있게 된다.

실제 화폐로 거래하는 것이 아니라 사이버공간에서의 거래 연습이기 때문에 참여기관이나 업체가 거래비용을 부담할 필요는 없다. 다만, 가상거래라 하더라도 2015년부터 실시될 실제 거래와 똑같은 에너지 절약실적 평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6개월 단위로 실시되는 온실가스 감축실적 평가는 한국품질재단 등 공인검증기관에 의뢰하고 있다.

현재 83개 공공기관과 7개 사업장 참여...2년간 총 2,580톤 온실가스 감축

현재 '서울시 탄소배출권거래제'에 참여하고 있는 곳으로는 서울시 본청, 25개 자치구, 한국철도공사 등 83개 공공기관과 삼성물산, 삼성서울병원, 을지병원, 고대구로병원, 고대안암병원, 서울파르나스호텔, 코엑스 등 7개 민간사업장이 있다.

이들 참여기관과 사업장은 주로 건물단열, LED전등 확대설치, 직원들의 에너지 절약활동 전개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여왔다. 2010년부터 2년에 걸쳐 줄인 온실가스는 총 2,580톤CO2 (에너지로 환산하면 891TOE)에 달한다. 또한 탄소배출권 거래를 통해 온실가스 8,848톤CO2(3,057TOE)를 2,572회에 걸쳐 거래했다. 'TOE(Ton of Oil Equivalent)'는 석유환산톤, 즉 국제에너지기구에서 정한 에너지 열량 단위로서 경유 1톤은 0.901TOE에 해당한다.

서울시는 탄소배출권 거래에 참여한 기관과 사업장 중 우수기관·사업장과 온실가스 감축기관·사업장에게 표창하고 온실가스 감축포상금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김현식 기후환경본부 기후대기과장은 “온실가스 감축이 선택이 아닌 필수인 시대에 살고 있다”며 “탄소배출권거래제에 많은 기관과 사업장이 참여해 온실가스 감축을 함으로써 지구 온난화 해소에도 기여하고 에너지 절약을 통한 경영비용 절감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문의: 기후대기과 02) 2115-7438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