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한 그릇 정화하는 데 필요한 물의 양은?

시민기자 시민리포터 임근영

발행일 2011.10.28. 00:00

수정일 2011.10.28. 00:00

조회 3,873

[서울시 하이서울뉴스] 21세기에는 물도 자원이다. 한국은 산과 강이 비교적 알맞게 분포되어 있고 강우량이 장마철에만 집중된다고는 해도 일 년 동안의 강수량이 연평균 1200~1300mm로 세계 평균보다는 높다. 그러나 마냥 안심할 수만은 없다. 산업이 발달하고 좁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살며, 삶의 질이 향상되는 등의 원인으로 물 소비량이 늘어 1인당 하루 물 사용량이 평균 약 330리터에 달하기 때문이다.

서울에는 한반도의 대표적인 강인 한강이 흐르고 있다. 한강으로 강남과 강북에서 안양천, 사당천, 탄천, 성내천, 중랑천, 청계천, 불광천, 홍제천 등 여러 지천이 흐른다. 이러한 지천들을 따라 1천만 서울시민을 비롯하여 수도권에 사는 많은 시민들의 생활하수와 폐수가 분류하수관을 통하여 흐르고 있다.

1970년대만 해도 중랑천이나 안양천은 공장 폐수와 생활하수의 오염으로 인하여 악취가 나는 것은 물론 검은 색의 물이 흐르고 겨울에는 제대로 얼지도 않는 대표적인 오염된 하천이었다. 그러나 요즘 중랑천에는 장마철에 잉어와 메기가 노원구까지 올라오기도 하고, 청둥오리, 쇠오리, 고방오리 등 오리류의 겨울철새가 날아오기도 한다.

바로 분류하수관의 매설로 생활하수와 폐수를 분류하여 지천의 오염도를 낮췄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분류하수관을 통하여 흐르는 생활하수와 폐수를 물재생센터에서 처리하여 어느 정도 물을 맑게 한 다음 하천이나 강으로 내보냈기 때문이다.

서울에는 현재 서울시에서 직영하는 중랑물재생센터와 난지물재생센터가 있고, 위탁하여 관리하는 서남물재생센터와 탄천물재생센터 등 4곳의 물재생센터가 있다. 중랑물재생센터는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도봉구, 노원구, 강북구 등 서울의 동북쪽을 주로 관할하고, 난지물재생센터는 용산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등 서울의 서북쪽을 주로 관할하며, 서남물재생센터는 서울의 서남쪽을, 탄천물재생센터는 서울의 동남쪽을 주로 관할하고 있다.

지금의 물재생센터는 예전의 하수종말처리장을 가리키는 것으로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가 100mg/L이상인 오폐수를 수처리 과정을 거쳐 BOD 10mg/L 정도의 5급수 수준으로 처리하여 방류한다. 물재생센터에서는 수처리과정을 통하여 호기성미생물을 번식시켜 오폐수의 유기물질을 흡착·분해 처리하며, 고도처리과정을 통하여 오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질소(N)와 인(P) 성분을 처리 정화시킨다. 질소와 인은 강이나 호수, 바다에 흘러들어 부영양화를 이루고 물 속의 용존산소의 양을 줄여 물고기를 집단적으로 죽게 하고 물을 더욱 오염시키는 결과를 낳게 하는 성분이다.

서울에 있는 물재생센터 네 곳의 처리 능력은 하루에 약 581만톤이다. 이러한 하수처리에 드는 서울시의 1년 예산이 약 2천억 원에 달한다고 한다. 1983년 10월부터 하수도 사용료를 징수하기 시작하여 안정적인 재원을 마련하기 시작하긴 했지만 시민들이 사는 서울의 환경을 생각하고 서울시의 하수처리 예산을 줄이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각 가정에서 수돗물의 사용을 줄이고 생활하수의 양을 줄이는 습관을 갖는 등 환경을 생각하는 생활이 절실하다.

가정에서 실천할 것들이 많다. 세제와 샴푸류를 알맞게 사용하고, 세탁물은 되도록 모아서 세탁해야 한다. 수도꼭지 틀어 놓고 사용 안하는 일은 삼가야 한다. 욕조 사용도 꼭 필요할 때만 해야 한다. 가정에서 나가는 하수는 분류하수관을 따라 물재생센터로 가기 때문에 물 사용량 자체를 줄이는 것도 아주 중요하다. 서울시의 경우 오·폐수의 발생량 중 생활하수가 98%라고 한다. 나머지 단 2%만이 산업폐수란 소리다. 라면 한 그릇, 커피 한 잔을 정화시키는 데 필요한 물의 양이 물통 7~9통이나 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생활하수를 미생물 처리하여 용존산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살아 숨쉬는 물을 만드는 물재생센터의 역할은 환경을 위해서 아주 중요하다. 하지만 깨끗한 물을 아끼는 습관이 더욱 중요하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21세기에는 물도 자원이다.

 

엄마,아빠, 저 여기있어요~!

#물재생센터 #생활하수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