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레에 도전하다
admin
발행일 2007.04.02. 00:00
시민기자 이혁진 | |
카레에 도전했다고 하면 사람들이 웃을 것이다. 하지만, 난생 처음으로 카레를 먹어보고 요새 카레에 맛을 들이고 있다. 그간 집에서 식구들이 간간이 카레를 해 먹었다. 하지만 카레를 먹는 식구들과 달리 평소 내 밥상을 고집해 왔다. 솔직히 카레 먹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먹지 않다보니 그 맛을 모르고 카레에 대해 아는 바가 없었다. 오히려 카레를 무슨 맛으로 먹는지 카레에 대해 편견마저 가지고 있었다. 그 특유의 카레향내가 싫었고, 카레가 인도음식으로서 손으로 먹는 그들만의 습관에 대해서도 거부감이 있었다. 그래서 나 때문에 식구들이 카레를 멀리하게 되고 여느 가정보다 덜 먹었는지 모른다. 그런데 최근 방송 프로그램의 카레에 대한 효능을 유심히 살피면서 그간의 생각을 새롭게 했다. 아니 편견과 무관심에서 벗어나 카레에 대해 여러 가지 연구를 하고 카레 요리 전문가의 얘기를 들어 직접 카레를 만들어 먹기를 벌써 수 주일, 건강식 카레에 주목하고 있다. 카레는 향신료를 근간으로 하는 색깔음식이다. 거기에 포함된 강황, 정향, 생강, 후추, 계피 등은 우리가 즐겨 먹는 마늘 등 향신료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잘 알다시피 우리 음식에서 향신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결코 적지 않다. 이점에서 카레를 멀리 해온 그간의 습관은 순전히 무지의 결과였다. 카레가 인도의 날씨와 토양을 바탕으로 발달했지만 인도인이 선진외국보다 장수하고 암과 치매는 물론 비만에서도 자유롭다는 여러 통계는 카레가 건강음식이라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음식에 국경이 없다는 말을 실감하며 개인적으로 카레 도전은 건강을 위한 새로운 실험인 셈이다. 카레의 여러 향신료 중 강황 속의 노란색을 띤 ‘커큐민’이라는 성분은 소위 만병통치약이라 한다. 염증에 노출되기 쉬운 인도인들에게 카레가 거의 주식이 되다시피 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우리가 된장과 고추장을 거의 매일 먹는 습관과 유사하다. 이참에 일주일에 한번 정도 가족들과 카레 먹는 시간을 정해 건강을 챙기려고 노력하고 있다. 식구들도 카레를 반기며 그 효능을 기대하는 눈치다. 육류를 빼면 카레만큼 다양한 야채를 담아내는 음식도 드물다. 다이어트에도 그만이다. 여러 색깔 채소와 향신료의 만남이 가족들의 건강은 물론 봄철 잃어버린 입맛을 되살려 주는데도 한몫할 것으로 추천하고 싶다.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