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신용회복 노숙인 3배 늘었다
서울톡톡
발행일 2013.01.09. 00:00
[서울톡톡] "낮에는 보험영업을 하고 새벽에는 신문배달을 하고, 주말에는 일용직 일을 하였지만 빚을 감당할 수 없었습니다. 파산면책 결정 후 아이들을 만났는데 '아빠, 힘들고 어려울 때마다 저희들 생각하면서 힘내세요.' 라는 문자를 받고 눈물이 났습니다. 해체된 가정을 복구하고 가족 간의 사랑을 나누면서 사는 것이 저의 유일한 소망입니다." (장OO, 남 54세, 아침을여는집)
서울시는 과중채무, 체납으로 경제적 자활이 어려운 노숙인·쪽방촌 거주자의 자활과 자립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신용회복지원사업'으로 작년 한 해 저소득 취약계층 306명이 채무 175억원을 감면 받았다고 밝혔다.
'신용회복지원사업'은 서울시가 대한법률구조공단,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신용회복위원회 등 유관기관과 힘을 모아 저소득 취약계층의 자활‧자립을 돕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2008년부터 2012년까지 1,048명의 취약계층 시민들에게 약 562억원의 채무를 감면 받을 수 있도록 도왔다.
시가 작년 2월부터 노숙인과 쪽방주민들의 신용회복을 위해 지원을 대폭 확대한 결과 2011년 105명에서 2012년에는 3배가 늘어난 306명이 혜택을 받았다.
이번 신용회복 노숙인들은 거리노숙인 시절 명의도용 피해를 당해 4억원 채무 파산·면책 받은 분(한◯◯, 남 51세), 부산시설관리공단 근무 중 8년간 딸 백혈병 치료비로 가정이 파탄나고 1억1천만원 파산·면책 받은 분(이◯◯, 남 60세), 헤어살롱을 운영하다 영업부진으로 부도 후 2억4천6백만원을 파산선고 받은 분(곽◯◯, 여 59세), 알코올 중독으로 8,600만원 파산선고 받은 분(이OO, 남 59세) 등 사연은 다양했다.
'신용회복 지원 사업' 신청자들의 신용회복 내역을 살펴보면 ▴개인파산 114억원(65.1%) ▴면책 47억원(26.8%) ▴개인회생 2억원(1.1%) ▴워크아웃 12억원(6.9%) ▴건강보험료 결손처분 9천만원(0.5%) 등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신용불량 노숙인의 특성상 소득이 있더라도 채권기관들의 추심으로 인해 은행거래를 할 수가 없어 저축을 하지 못하고 자립 기반을 마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판단, 신청자들의 무료법률교육 및 개별상담, 증빙서류 발급·소장 작성대행, 파산관재인 선임비 등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밖에도 서울시는 지난해 2월부터 각 분야별 전문가를 초빙하여 4회에 걸쳐 신용회복 지원 시설 종사자 182명을 교육하였고 신용불량 노숙인에 대한 방문상담도 실시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및 가정법률상담소에서는 파산·면책제도 종합안내와 신청절차 등을 교육하고, 신용회복위원회는 개인회생 및 워크아웃,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료 결손처분 신청대상 및 기준과 신청기간 및 방법 등에 대해 교육했다.
특히, 신용회복위원회에서는 39개 노숙인 시설을 찾아 신용불량 노숙인을 대상으로 방문상담을 실시했다.
또한, 서울시는 노숙인 복지시설의 신용회복 실적을 평가해 우수시설과 우수 직원에 대하여 운영비 추가지원 및 여행상품권 제공으로 각 시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앞으로도 서울시는 대한법률구조공단, 신용회복위원회, 건강보험관리공단, 국세청 등 유관기관과 협조를 강화하여 노숙인 등 취약계층의 금융기관 채무 불이행에 따른 신용불량 문제를 해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의 : 자활지원과 02)2133-7493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