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올레길, 부럽지 않다?

admin

발행일 2010.09.01. 00:00

수정일 2010.09.01. 00:00

조회 3,038

내사산 코스는 문화 역사 탐방로, 외사산 코스는 자연생태 탐방로로 조성

제주도 올레길처럼 서울 도심에서 자연을 느끼며 거닐 수 있는 내․외사산 연결산책로 명칭과 코스가 '서울둘레길' 202㎞ 구간으로 최종 확정됐다.

“서울을 둘러싼 산과 강을 자연스럽게 연결해 주는 자연숲 산책로”라는 의미의 '서울둘레길'은 지난 6월 우사말 명칭 시민공모를 통해 선정되었으며, ‘둘레길’ 이라는 명칭은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추진하는 ‘북한산 둘레길’, 노원구 ‘불암산 둘레길’ 등 연계 코스와 동질감을 줄 수 있어 향후 서울시 생태탐방길의 고유 명칭으로 특화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둘레길은 크게 '내사산 코스'와 '외사산 코스'로 나눠진다. 남산, 인왕산, 북악산, 낙산을 중심으로 광화문, 동대문, 서울시청, 숭례문 등 서울 도심을 지나거나 인접해 있는 서울둘레길 '내사산 코스'는 서울성곽과 연계한 역사문화 탐방로로 이미 정비가 시작되었다. 약 20Km(숲길 13, 마을길 7) 구간으로 산책하듯 주위를 둘러보며 천천히 시간당 2.0㎞의 속도로 걸으면 10시간 가량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어 하루 답사코스로 맞춤한 거리이다.

또 외사산인 용마산, 관악산, 봉산, 북한산은 물론 양재천과 우면산, 아차산과 수락산, 안양천 등 경관과 자연이 뛰어난 서울 경계부를 아우르는 '외사산 코스'는 182Km의 규모로 숲길의 특성을 살려 자연생태 탐방로로 정비된다. 이 구간은 산책하듯 걸으면 90시간가량 소요되는 거리이지만, 산을 자주 타는 분들의 경우 구간을 나누어 3~5일내로 주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가지나 도로로 단절된 구간은 차선축소 등 통해 그린웨이로 연결

트레킹 코스 조성은 시가지, 도로 등으로 단절된 숲길은 이어주고 기존 숲길 및 등산로 노면과 주변은 이용이 편리하도록 정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시는 ▴시가지로 단절된 구간은 공원과 선형녹지를 활용, 그린웨이로 조성하고 ▴도로로 단절된 구간은 연결다리를 설치해 동선체계를 회복하며 ▴하천구간은 제방이나 둔치길을 활용해 숲길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특히 시가지를 연결하는 그린웨이는 차선축소, 도로변 주차장 조정 등으로 보행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는 한편, 수목식재와 벽면녹화, 친수 공간 도입으로 걷기에 편리한 친환경 조성에 역점을 둘 예정이다.

주택가 골목길(이면도로)은 노상주차장 이전 및 조정으로 공간을 확보하고 포장개선, 벽면녹화 등으로 주변 환경을 정비해 장기적으로는 도시개발 사업 시행 시 그린웨이로 조성해 나갈 준비 중이다.

도로로 등산로가 단절된 곳은 장충단고개, 창의문(내사산)․망우리고개, 천호대로, 서오능고개(외사산)5개소이며 이중 망우리고개는 터널화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천호대로는 야생동물도 이동할 수 있는 생태다리로 조성 중에 있다. 내사산 연결다리 2개소는 문화재인 서울성곽 복원 차원으로 형상화할 예정이며 서오릉 고개는 현재 디자인 구상중에 있다.

등산로 및 주변도 시민 편의에 맞고 안전하게 정비하고 산림 복원

등산로 및 주변도 규모 있고 매끄럽게 정비된다. 시민들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숲길 등산로의 낡고 훼손된 콘크리트․철재 계단은 자연소재인 목재데크로 교체하고, 토사유실로 훼손된 구간은 흙덮기, 노면 고르기 등으로 정비한다.

돌이 완만한 경사구간은 돌깔기를 통해, 급경사 및 저습지 구간엔 목재데크를 설치해 어린이나 어르신들도 안전하게 걸을 수 있도록 배려한다.

아울러 등산로 폭이 좁은 구간은 최소 1.5m 노폭을 확보해 두 사람이 보행할 수 있도록 정비하는 한편 불필요하게 넓어 공간이용이 효율적이지 못한 등산로 구간은 축소와 샛길 폐쇄를 통해 그 공간에 나무를 심어 산림으로 복원한다.

서울둘레길은 산책하는 시민들을 위해 등산로 입구비 갈림길, 정상부분 등 주요 지점에는 안내표지판과 정자, 전망데크, 만남의 광장, 안전 휀스 등의 편의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경관을 저해하거나 불필요한 구조물은 이번 기회에 철거하고 폐쇄된 등산로 구간이나 자투리 공간에는 소나무, 참나무, 산벚나무, 철쭉, 싸리, 조팝나무 등 크고 작은 나무를 심어 산림으로 복원해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시는 이번 사업이 시민 건강에 도움이 되는 생활환경 서비스를 제공하고 녹지를 확대함은 물론 하나의 관광상품화로도 활용이 가능해 관광객 유치에도 기여하는 등 비교적 적은 예산으로 다양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까지 기본설계가 완료되면 내년도에는 시범사업구간으로 관악산 코스를 정비하게되고, 2012년 강남구간, 2013년 강북구간 정비를 마친후, 2014년까지 연결다리를 설치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서울둘레길 조성으로 서울엔 시민 누구나 편안하게 찾을 수 있는 트레킹코스가 2개나 탄생하게 된다. 푸른 자연에 둘러싸여 서울의 역사, 문화, 자연생태 및 경관을 즐기며 트레킹할 수 있는 서울둘레길로 시민들의 즐거움이 더욱 커져가길 기대해본다.

문의: 자연생태담당관 ☎ 02)2115-7561

하이서울뉴스/박혜숙

#서울둘레길 #내사산코스 #외사산코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