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는 원단이 하루 평균 250톤?

서울톡톡

발행일 2013.02.08. 00:00

수정일 2013.02.08. 00:00

조회 3,476

[서울톡톡] 서울시내 소규모 봉제공장이 2만여 개에 이르는 가운데, 서울시가 그동안 종량제 봉투에 넣어 소각·매립했던 봉제공장의 자투리 원단 조각을 소재별로 분리해 신발 중창, 인테리어 자재, 보온덮개 등으로 재활용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지난 4일 (사)서울봉제산업협회 및 재활용업체와 협약을 체결하고 '봉제공장 원단 조각 재활용 사업'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시는 우선 소규모 봉제공장이 밀집해 있는 성동구, 성북구, 강북구 3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희망하는 봉제공장 및 재활용 사업자의 신청을 받아 7월까지 시범사업을 벌이고, 이후 전면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내에서 영업 중인 소규모 봉제공장은 대략 2만 여개('10년 전국사업체조사, 통계청)로, 이들이 배출하는 원단 조각은 일평균 250톤(재활용업체 및 개인 사업자가 수거하는 양)인 것으로 추정된다.

소규모 봉제공장에서 배출하는 원단 조각 중 면은 신발 중창, 인테리어 자재 등으로 재활용하고, 폴리에스테르·나일론은 사출·압출을 통한 수지화로 원료 생산에 쓴다. 모직은 재생해 모직 원단으로 재활용하고, 털류·아크릴·합사는 열과 압축을 가해 부직포로 제조하는 등 보온덮개로 활용한다.

그동안 봉제공장에선 섬유류 재단 후 남은 원단 조각을 혼합해 종량제 봉투에 넣어 생활 폐기물로 배출, 자원 재활용이 어려웠다.

특히 종량제 봉투 구입(1,700~1,940원/100ℓ용) 비용도 월10만원~30만원이 들어 영세한 업체의 부담으로 작용했다.

시범사업에 따라 앞으로 봉제공장은 재활용 업체를 통해 3종류의 색깔별 부대(봉투)를 구입(시범사업 기간 중 봉투(부대) 제작에 따른 최소비용 800원(100ℓ)~1,500원(200ℓ))해 색깔별 전용 부대(봉투)에 해당 소재별 원단조각을 분리 배출하게 된다.

A형 겨자색 부대엔 면, 울, 모직을, B형 회색 부대엔 나일론, 털 원단 등, C형 살구색 부대엔 합포, 솜 등을 각각 담는 방식이다.

재활용업체는 일일이 봉제공장을 방문해 수거한 후 소재별로 원단 조각을 재활용하게 된다. 면은 신발 중창이나 인테리어 자재 등으로, 모직은 재생하여 모직원단으로 재활용 한다. 또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은 사출 및 압출을 통해 수지 원료를 생산하고 털류나 아크릴 및 합사는 보온덮개 등으로 재활용 하게 된다.

서영관 서울시 자원순환과장은 "원단조각을 재활용하게 되면 쓰레기 매립량 저감과 영세업체 종량제 봉투 구입비용 절감, 자원생산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봉제공장에서 분리배출 시 원단 조각을 소재별로 꼼꼼히 분리해 주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문의 : 자원순환과 02)2133-3696

간편구독 신청하기   친구에게 구독 권유하기

#재활용 #봉제공장 #원단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