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 ‘아리수’
admin
발행일 2007.11.22. 00:00
WHO 권장수준 145개 항목 검사, 먹는 물로 적합 서울시 수돗물 ‘아리수’가 세계보건기구(WHO) 수준의 145개 항목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 먹는물로 적합하다는 판정이 나왔다.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는 2002년부터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수준으로 수도꼭지에서 바로 받은 아리수에 대한 정밀검사를 실시해 왔다. 그간 서울시 6개 정수센터에서 공급되는 물의 계통을 기준으로 6개 지점(가정 등)의 아리수에 대해 동시 정밀수질검사를 실시하거나, 연구원의 3개 수질검사반(연간 7천건) 및 11개 수도사업소의 수질팀(연간 5만건)에서 매일 서울시 전역을 순회하며 채수한 표본에 대해 수시 수질검사를 실시해왔다. 반면, 이번 검사는 서울 25개 자치구 전역에서 동시에 아리수 표본을 선정해 정밀 검사한 것이 특징이다. 정밀 수질검사 방법으로 미국환경보호청(EPA) 등의 공인분석법을 활용했고, 중금속이나 농약성분 등이 미량이라도 들어 있는지 확인했다. 30여명의 연구사들이 한달에 걸쳐 철저한 검사를 했고, 극미량의 물질까지 분석하기 위해 500배에서 1,000배 농축하고 추출하는 전처리를 거쳤으며, 고성능 질량분석기를 사용해 검사의 신뢰도를 높였다. 세계보건기구는 ‘보통 사람이 하루 2리터씩 평생 동안 물을 마실 경우 건강에 해를 끼치지 않는 양에 1천배에서 10만배 가량 더 안전한 수치를 곱하여 먹는물 수질기준’을 정하고 있는데, 이번 검사 결과 아리수가 그 기준보다 훨씬 안전하다는 것이 확인됐다. 검사 결과, 아리수에서는 일반세균, 총대장균군은 물론, 68개 항목의 농약류 및 환경호르몬, 납, 불소, 비소, 수은, 크롬 등의 중금속도 검출되지 않았고, 탁도도 기준치인 0.5보다 10배 정도 깨끗한 0.05였다. 또한 경도도 53으로 연수(보통 75이하가 연수)로 맛있는 물 기준에 적합해 별도의 연수기가 필요 없음이 확인됐다. 서울시 상수도연구원장은 “정수센터의 물은 안전하지만 수도꼭지 물에 대해서는 수도관 때문에 우려하는 시민고객들이 많다”면서, “이번 145개 항목 검사는 수도꼭지의 아리수를 대상으로 실시했고, 모두 먹는물로 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의 수도관은 녹이 슬지 않는 재질로 교체되었으므로 수도관을 통해 몸에 좋지 않은 물질이 섞여 들어가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그러나 녹물이 계속 나올 경우에는 수도사업소에서 옥내배관에 대한 상담을 받으면 서울시의 비용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으므로 가정의 옥내배관을 갱생하거나 교체하는 것이 좋다. 녹물이나 냄새 등 수질에 대해 의문이 있는 경우에는 국번 없이 ‘120’으로 전화해 ‘아리수 품질확인제’를 신청하면 된다. 아리수 품질확인제는 각 수도사업소의 수질팀이 가정에 방문해 수도꼭지물을 받아 즉석에서 검사를 해주고, 결과까지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 문의 : 서울시 상수도연구원 ☎ 02-2049-1162 |
하이서울뉴스/이지현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