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도 친정엄마가 생겼어요”
하이서울뉴스 김효정
발행일 2011.05.11. 00:00
외국인이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하는 수가 점차 늘면서 대한민국은 다문화사회로 가는 길목에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다문화가정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올해 집계한 결혼이민자 수는 4만 1,123명, 다문화가정 자녀수는 1만 3,789명에 이른다.
이처럼 증가 추세에 있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정착 지원을 보완하고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서울시는 다문화가족과「좋은 이웃되기」사업을 시행하기로 했다.
먼저, 문화·언어·정서가 다른 한국사회에 조기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다문화 가족「일촌 맺기」사업이 있다. 입국 초기 결혼 이민 여성들에게는 ‘친정 엄마·언니 맺기’를 통해 가족 같은 정을 느끼며 고민도 함께 나눌 수 있도록 해 준다. 곧 친정 엄마나 언니처럼 생활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고 서울생활의 어려움 등에 대해 상담을 해주는 것이다. 남편 이외에 아는 사람도 의지할 곳도 없는 결혼 이민 여성들에게 적잖은 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다문화가정의 18세 이하 자녀들에게는 대학생 이상 성인 자원봉사자가 형제 자매가 되어준다. ‘언니·오빠 / 누나·형 맺기’로 연결된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멘토링은 물론 학업 지도 등 맞춤 서비스를 지원한다.
현재 다문화가정의 멘티는 선정이 완료된 상태며, 이들과 일촌을 맺을 자원봉사자는 오는 18일(수)까지 자원봉사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모집한다. 친정엄마, 언니의 경우 35세 이상 기혼여성으로 자원봉사 경험이 있어야 하며, 언니·오빠·누나·형의 경우 서울 소재 대학생, 대학원생 및 휴학생으로 교과목 지도가 가능해야 지원 가능하다. 최종 합격자는 심사와 면접을 거쳐 오는 26일 발표한다. 합격자는 28일 자원봉사자 교육을 받은 뒤 6월부터 11월까지 활동을 하게 된다.
다문화가족 일촌 맺기 자원봉사 신청은 서울시자원봉사센터 홈페이지(http://volunteer.seoul.go.kr)에서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동행(동생 행복) 프로젝트’에 다문화가정 자녀를 적극 참여시킬 계획이다. 지금도 서울시 전체 대상자 1만 3,789명 가운데 192명의 다문화가정 자녀가 참여하고 있는데 이보다 참여 규모를 대폭 늘린다는 방침이다. 동행 프로그램은 자기주도학습법, 교과목 학습지도, 초등학교 돌봄교실, 특기적성, 체험학습 지원, 기획봉사 등 6개 분야 총 14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이와 함께 2학기부터는 집중 지도가 필요한 중도 입국 자녀와 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특성화 프로그램도 개발 지원할 계획이다. 이중 언어가 가능한 대학생을 동행프로젝트 멘토로 배정하여 한국어 교습 및 교과학습 지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우리 사회 정착을 도울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23개 자치구에 운영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 서울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
연번 | 센터명 | 전화번호 | 주소 | 위탁기관 |
1 | 동대문구센터 | 957-1073 | 동대문구 회기동 1 경희대 생활과학대 223호 |
경희대학교 |
2 | 성북구센터 | 953-0468 | 성북구 보문동5가 14 천주교노동사목회관 2층 |
비영리민간단체 천주교노동사목위원회 |
3 | 영등포구센터 | 846-5432 | 영등포구 신길1동 465-2 신길종합사회복지관 4층 |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 |
4 | 동작구센터 | 599-3260 | 동작구 사당2동 1136-1 (구,사당2동주민센터)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5 | 용산구센터 | 792-9174 | 용산구 한남2동 728-10 용산여성문화회관 1층 |
상명대학교 |
6 | 송파구센터 | 403-3844 | 송파구 마천동127-1 | 사단법인 아이코리아 |
7 | 종로구센터 | 764-3521 | 종로구 창신2동 596-2 동부여성문화센터 2층 |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 |
8 | 광진구센터 | 444-5882 | 광진구 광장동 472-1 광장종합사회복지관내 |
사회복지법인 사랑의집 |
9 | 중랑구센터 | 435-4149 | 중랑구 용마산길 177 (면목동 62-2) |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 |
10 | 강북구센터 | 945-7381 | 강북구 벌리길25(번2동 318) 강북웰빙스포츠센터 3층 |
성신여대 산학협력단 |
11 | 노원구센터 | 979-3502 | 노원구 공릉동 569-19 가온빌딩 4층 |
사회복지법인 삼육재단 |
12 | 은평구센터 | 376-3731 | 은평구 갈현동 468-2 3층 | 학교법인 환원학원 |
13 | 서대문구센터 | 375-7530 | 서대문구 북가좌동 333-5 | 이화여대 산학협력단 |
14 | 마포구센터 | 3142-5027 | 마포구 양화로1길 22 홀트일시보호소 |
사회복지법인 홀트아동복지회 |
15 | 강서구센터 | 2606-2037 | 강서구 화곡동 1159-4 우장산주민센터 3 |
사)강서사회복지회 |
16 | 구로구센터 | 869-0317 | 구로구 구로동 디지털로 32가길 50 |
성공회대 산학협력단 |
17 | 금천구센터 | 803-7743 | 금천구 시흥본동 84 1 시흥본동자치센터 |
숙명여대 산학협력단 |
18 | 관악구센터 | 883-9383 | 관악구 봉천4동 1571-1 | 서울대 산학협력단 |
19 | 강동구센터 | 473-4986 | 강동구 천호2동 358 민호빌딩 501 |
사)가정을 건강하게 하는 사람들의 모임 |
20 | 강남구센터 | 3414-3346 | 강남구 개포로 14-2 강남구건강가정지원센터 4층 |
사회복지법인 밀알복지재단 |
21 | 성동구센터 | 3395-9445 | 성동구 홍익동 373-1호 | 한양대학교 |
22 | 도봉구센터 | 990-5432 | 도봉구 창동 303 구민회관 2층 | 학교법인 덕성학원 |
23 | 양천구센터 | 2699-6900 | 양천구 신월5동 52-2 신월5동 주민센터 3층 |
사단법인 나눔과보람복지회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