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교통신호 제어시스템 업그레이드!
admin
발행일 2007.07.10. 00:00
교통신호 운영센터 지역별 구분, GIS 기반 정보제공 서울시는 교통신호 제어시스템 개선을 본격 추진한다. 교통신호 제어기를 지역·도로 등 권역별로 전담해 운영하는 권역별 전담운영 시스템 구축, 도시미관 개선을 위해 교차로 수준에 맞는 경제형 소형 신호제어기 개발·보급, 교통안전시설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운영하는 자료관리시스템을 서울시 GIS체계에 부합하도록 전면 재구축하는 사업 등이 주요내용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교통신호 운영체계가 지역별 상황에 맞게 운영돼 교차로에서의 신호 대기시간이 짧아지고 차량 흐름도 원활해진 전망이다. 현재, 서울시의 교통신호체계는 교통량에 따라 신호주기를 달리하는 실시간 신호제어, 출·퇴근 등 시간대별로 달리하는 정주기(TOD)제어, 시간대와 관계없이 운영하는 고정제어 방식을 혼용해 사용하고 있다. 서울시내 3천개의 교차로 중 실시간 신호제어를 하는 곳은 373개 교차로로, 나머지는 대부분 시간대별로 제어하는 정주기(TOD) 신호제어를 하고 있다. 실시간 신호제어는 강남지역, 월드컵경기장 주변 등에 설치·운영중이나, 교통량이 많은 강남지역 등은 교차로의 꼬리물림 현상 등으로 실시간 신호제어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교통흐름이 원활하기 위해서는 신호등간 연동이 필수적인데, 현재 하나의 연동제어그룹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지역제어컴퓨터에 연결돼 있어 원활한 연동관리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별·도로별, 연동 그룹별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교통신호 운영기법을 도입한다. ‘서울시 맞춤형 신호제어시스템’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교통신호 운영센터를 지역별로 구분해 그룹화하는 권역별 전담관리체제는 동일한 권역에 속하는 연동제어 그룹들이 하나의 체계적인 통제시스템에서 운영되도록 추진하는 것이다. 경제적인 소형신호제어기 개발·보급, 교통안전시설 자료관리시스템 재구축 현재 교차로에 설치된 교통신호제어기는 단일모델이어서 소형 교차로나 일반도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에 적용한 결과, 과대 규격으로 인한 예산낭비, 도시미관상의 문제점이 지적됐다. 이에 서울시는 산·학·연 합동으로 교차로 수준에 맞는 경제형 소형제어기(기존 제어기의 2/3 정도 크기) 개발을 추진ㆍ개발해 경찰청과 협의 후 7월중 시청 앞(부산은행 앞 교차로) 등에 시범설치 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지방경찰청과 서울시 교통국 홈페이지에 설치돼 있으나 이용이 저조한 ‘교통안전시설 정보방(http://gtms.spatic.go.kr)’을 이용자 중심으로 개선한다. GIS 기반의 자료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교통안전시설의 설치위치, 공사이력, 현장사진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시민 불편사항 발생시 정확한 위치파악과 신속한 복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시민 불편사항 처리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고, 신고방법을 개선해 사진ㆍ동영상을 이용한 제보기능 추가 등 적극적인 커뮤니티 공간으로 개편한다. 아울러 서울시 공간데이터웨어하우스(SDW)와 연계한 도로관리시스템, 상·하수관리시스템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한다. 개편된 ‘교통안전시설 정보방’은 올해 7월 중 사업자를 선정해 2008년 상반기 중에 서비스 할 예정이다. 한편, 서울시는 서울시 교통신호시스템의 발전방향을 정립하기 위해 ‘서울형 통합 교통신호체계 구축’ 학술용역을 서울시립대, 서울시시정개발연구원,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과 공동으로 진행 중에 있다. 이 자료는 ‘서울형 교통신호시스템’ 구축을 위한 중·장기적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교통신호 운영기술 전문인력을 양성해 서울의 지역별·도로별 특성에 맞는 신호운영기술을 확보할 예정이다. ■ 문의 6361-3988 (서울시 교통국 교통시설반) |
하이서울뉴스/이지현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