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맑은 서울 프로젝트' 본격 시동

admin

발행일 2007.02.09. 00:00

수정일 2007.02.09. 00:00

조회 1,181


대기질 개선전과 개선후(왼쪽부터)

‘환경일류도시’를 만들어 서울 시민의 수명을 3년 더 연장시킨다!
서울시는 2010년까지 서울의 대기질을 선진국 진입단계의 수준으로 개선해 자연과 사람이 함께하는 환경도시, 도시 경쟁력을 갖춘 서울을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대기오염 성분 중에서도 인체에 가장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진 미세먼지의 경우 서울은 선진국 주요도시에 비해 그 수치가 2~3배나 높다. 실제로 프랑스 파리는 21마이크로그램, 미국 뉴욕이 22마이크로그램, 일본 동경이 29마이크로그램인데 비해, 서울의 경우 2005년에는 58마이크로그램, 2006년에는 60마이크로그램을 기록했다.

WHO(세계보건기구)의 통계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매년 80만명이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조기 사망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매년 100만명이 호흡기 장애를 겪는 등 미세먼지의 폐해가 심각하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수도권 지역에서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 사망자가 2005년의 경우 1만1천명에 이르고, 사회적 피해비용도 2조 6천24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쿄 수준으로 대기질이 개선되면 서울 시민의 평균수명이 3년 정도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공해화’와 ‘교통수요관리’ 중심 정책 추진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76%가 자동차 운행 등 수송분야에서 발생하고 그중 미세먼지는 100%가 경유차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대기질 개선을 위해 자동차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줄여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자동차의 저공해화’와 ‘교통수요관리’를 양대축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자동차의 저공해화 정책으로는 경유차의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과 노후 경유차의 저공해화 조치 의무화를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노후 경유차의 경우 출고된 지 7년 이상 된 3.5톤 이상 경유차는 올해와 내년 사이에, 출고된 지 7년 이상 된 2.5∼3.5톤 경유차는 2009~2010년까지 단계적으로 저공해장치를 부착해야 한다. 대상 차량은 서울 13만대, 경기 16만대, 인천 9만 대 등 모두 38만대가 해당된다.

저공해화 미시행 차량은 시내운행 제한 검토

저공해장치를 부착하지 않은 노후 경유차량의 시내운행을 제한하는 방안 또한 검토되어, 2009년부터 수도권대기관리권역인 서울시와 인천시(옹진군 제외), 수원·용인·안양시 등 경기도 24개시에 진입할 수 없게 될 전망이다. 저공해차에 대해서는 환경개선부담금과 정밀검사 3년 면제, 혼잡통행료 감면 등의 인센티브도 부여한다.
저공해화와 함께 대기질 개선을 위한 또 다른 핵심 정책은 시민들 스스로가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고, 자전거도로를 늘리며, 승용차 요일제를 확산시키는 등 교통수요관리방안도 다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 맑은서울추진본부 담당자는 “이제 대기나 환경 문제는 먹고 사는 것 만큼이나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며 "시민들도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저공해장치 부착, 대중교통 이용, 승용차 요일제 등의 실천에 적극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하이서울뉴스 /김현아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