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에 얽힌 여성들의 이야기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5.10.18. 00:00
청계천~청룡사 정업원까지 문화유산 따라 걷는다 청계천 광통교와 영도교를 시작으로 정릉과 청룡사 정업원을 돌아보는 이번 답사는 청계천에 얽힌 여성들의
일화를 중심으로 ‘권력의 피해자 신덕왕후와 정순왕후’를 부제로 열린다. 광통교는 처음에는 토교였으나 태종 10년 8월에 큰 비로 다리가 유실되어 석교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영도교는 단종과 정순왕후가 그 다리에서 이별한 후 다시는 못 만났다고 하여 ‘영이별다리’로 불렸는데, 그 말이 후세에 와서 ‘영원히 건너가신 다리’라는 의미의 영도교로 불리어졌다고 한다. 답사는 청계천의 광통교와 영도교를 둘러본 후 정릉으로 향한다. 정릉에 이어 마지막 답사지는 청룡사 정업원이다. 영조의 친필로 ‘정업원구기’라는 글이 새겨진 비석이 있는 이곳은 궁궐에서 추방당한 단종비 정순왕후가 기거하던 곳. 인근에는 단종의 억울한 죽음을 안 정순왕후가 아침, 저녁으로 단종의 유배지인 영월을 향해 통곡을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동망봉’과 함께 자줏골, 부녀자들의 채소시장 등이 위치하고 있다. 한편 답사는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진행되며 참가비는 1만원(점심식사 및 교통편 제공)이다. 이와 함께 20일에는 ‘역사 속 라이벌, 인현왕후와 희빈 장씨’ 답사가 마련되는데, 서오릉을 돌아보며 일반인들에게 많이 알려진 인현왕후와 희빈 장씨에 대한 일화를 역사적 배경 안에서 들을 수 있다. 참가비는 1만 5천원(점심식사 및 교통편 제공)이다. 문의 : (재)서울여성 교류지원부 ☎ 810-5042 |
하이서울뉴스 / 이현정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