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프로젝트 졸업식…˝이제 나도 어엿한 사장님입니다˝

admin

발행일 2010.06.14. 00:00

수정일 2010.06.14. 00:00

조회 3,002

창업을 하려면 뭐가 필요할까. 누구한테 조언을 구해야 할까. 누구나 창업을 하려면 이런 고민부터 하기 마련이다. 이런 문제는 가사와 육아로 시간을 보냈던 정희윤 씨에게도 마찬가지였다. 그녀는 외국 디자이너 친구가 장어가죽 제품을 좋아하는 것을 보고 창업을 떠올리게 됐다.
장어가죽 아이템은 소재나 디자인 면에서 일반 가죽제품과 차별화될 뿐 아니라 우리나라 기술로 피혁을 가공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경쟁력이 있었다.
그러나 자신만의 일을 하고 싶어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법을 몰랐다. 그러던 중 ‘청년창업1000프로젝트’를 알게 됐고, 이를 통해 사무실과 컨설팅 등을 지원받을 수 있었다. 그렇게 1년이 지난 지금. 그녀는 이제 6개월에 1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회사의 사장님이 됐다.

창업 제품도 구경하고, 투자 상담도 받고

청년창업1000프로젝트를 통해 지난 1년간 지원을 받은 업체는 1천여 곳. 그중 509개 업체의 매출이 190억 원에 이른다. 이들의 성과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자리가 15일 동대문 유어스빌딩에서 열린다.

이름하여 ‘제1기 청년창업 졸업페스티벌’. 이는 지난 1여 년간 ‘청년창업1000프로젝트’에 참여한 업체들의 졸업축제 쯤으로 볼 수 있다. 다시말해 창업에 성공했거나 창업완료 단계에 있는 청년창업가들의 성과를 돌아보고, 우수한 제품과 아이템을 일반인에게 홍보하는 행사다.

이 행사는 크게 <전시존>과 <상담존>으로 나눠 진행되는데, <전시존>에서는 신기술제품, 패션액세사리, 디자인, 문화콘텐츠 등 청년창업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123개 업체의 제품이 전시된다.

<상담존>에서는 판로개척과 제품마케팅, 기업투자유치에 대한 상담이 이루어진다. 그중 마케팅 상담은 롯데닷컴, 농협, 이상네트웍스가 진행하며, LIG증권, CJ창업투자, 동양인베스트먼트 등은 투자상담 창구를 개설해 상담에 나선다.

이외에도 특허변리사, 마케팅컨설턴트, 서울신용보증, 소상공인지원센터에서 프로젝트 참여기업뿐 아니라 이날 페스티벌에 참가하는 일반 창업 희망자를 대상으로 창업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창업을 고려하고 있다면, 이날 방문하여 창업절차, 자금조달 및 입주공간 등은 물론 창업교육(자금)융자지원 등에 대해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청년창업 졸업페스티벌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특별히 예약하지 않아도 당일 현장에서 입장이 가능하다.

■ ‘제1기 청년창업 졸업페스티벌’ 행사 개요

○ 일 시 : 2010. 6. 15(화) 10 : 00 ~ 18 : 00
○ 장 소 : 동대문패션아트홀 전시장 내
○ 문 의 : 120다산콜센터 ☎ 120, 강북청년창업센터 ☎ 070-8610-6307


■ ‘청년창업1000프로젝트’란?

‘청년창업1000프로젝트’는 사업 아이디어는 있으나 창업의 방법을 몰라 어려움을 겪는 20~30대 청년들에게 획기적인 창업환경을 마련해 주고 있는 사업이다.

예비청년창업가 1인에게 10㎡의 창업공간과 사무집기를 제공하고 있으며, 월 70~100만 원의 아이템 개발 및 창업활동비를 1년간 제공한다. 여기에 교육프로그램과 창업에 필요한 상담ㆍ컨설팅 지원, 홍보ㆍ마케팅 판로개척 등 창업에 필요한 전 과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젝트의 1년 성적표는 눈부시다. 현재 사업자등록을 마친 기업은 총 509개. 무려 59%의 기업이 창업에 성공한 셈이다.

여기에 자금지원은 148건에 이르고 지적재산권(특허 등) 등록ㆍ출원은 489건에 달한다. 또한, 1,700여명의 총 고용창출 효과를 거둔 것은 물론 매출을 내는 어엿한 중소기업으로 성장한 기업도 360여 개에 이른다.

‘청년창업1000프로젝트’ 선발은 연 1회 진행되며, 매년 3월 선발공고를 내고 있다. 현재 제2기 청년 창업가를 심사 중이며, 최종 선발자는 6월 22일 발표될 예정이다.

하이서울뉴스/조선기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