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선가 누군가에 무슨 일이 생기면

admin

발행일 2010.01.29. 00:00

수정일 2010.01.29. 00:00

조회 1,912

10월, 오전 9시~12시, 60세 이상 119구급대 가장 많이 이용해

‘회사에서 아이가 다쳤다는 얘기를 듣고 얼마나 가슴을 졸였는지 모릅니다. 근데 119의 도움으로 병원에 무사히 도착했다고 하더군요. 치료가 다 끝난 후 전화했더니 영동소방서 119분들인 걸 알았습니다. 경황이 없어 미처 인사 못 드렸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눈 오는 날 출근 준비 하려다 넘어져 모범택시를 불렀는데 차량이 없다고 하더라고요. 다리가 퉁퉁 부어올라 한시가 급한 상황이었는데 아이가 그러데요. 119부르자고요. 그래서 연락했는데 눈이 오는 상황에서도 10분 안에 오셔서 어찌나 고맙던지요. 그날 감사했습니다. 눈 오는 날 너무 고생 많이 하셨어요.’

위 내용은 119안전신고센터(http://www.119.go.kr/)에 등록된 글들이다. 짧은 글이지만 당시 상황이 얼마나 긴급했는지, 또 글쓴이가 얼마나 감사해 하는지 느낄 수 있다. 이렇듯 많은 이들이 긴급한 상황에서 119의 도움을 받는다.

이는 ‘119구급대 이용 시민 만족도 조사’에서도 나타났다. 이 조사는 2009년 119구급대 이용시민 1천 명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그 결과 전체 만족도 96.6%, 도움 인식도 99.8%, 신뢰도 98.8%의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미지 조사에서는 응답자 중 31%가 119하면 ‘응급상황/급할 때’가 떠오른다고 밝혔다. 그 뒤로는 ‘신속성’(13.3%), ‘긴급구조/응급처치’(10.1%), ‘환자이송’(5.6%), ‘감사함’ (5.2%) 등이 순위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119구급대를 이용하는 이유도 조사됐는데, 급성질병이 57.4%로 가장 많았고, 사고부상 19.1%, 만성질병 17.5%, 교통사고 3.9%, 기타(임신, 출산, 건강검진, 과로)2.1% 순으로 나타났다.

나이별로는 60세 이상의 이용이 25.4%로 가장 많았고, 시기별로는 10월이 30.1%, 시간대별로는 오전 9시~낮 12시가 19.3%로 가장 많았다.

1일 평균 출동 건수 1천 건 넘어

그럼 119구급대를 이용한 이들은 얼마나 많을까. 조사에서는 지난해 27만여 명이 구급대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보다 7.4% 증가한 수치로, 1일 평균 출동 건수만 1천 건을 넘고, 이송 수도 738명에 이른다.

또, 119구급대는 신고 후 얼마 만에 도착할까라는 질문에는 ‘5분 이내’라는 응답이 41.1%로 가장 높았고 ‘6~10분’이라는 응답이 35.2%, 그 외, ‘11~20분’ 14.1%, ‘21~30분’ 3.4%, ‘31분 이상’ 0.2%, ‘모름/무응답’이 6.0% 순이었다. 이를 조합해볼 때 평균 9.2분 정도로 나타났다.

아울러 119구급대 이용시 이송병원은 당사자 또는 가족이 정한다는 응답이 80.3%였고, 구급대 이용 빈도는 1회 이용이 78.5%, 2회 이상이 21.5%로 조사됐다.

물론 칭찬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구급차의 승차감에 대해서 70.9%가 만족한다고 평가한 반면, 불만족을 표시한 이들도 23.6%나 되었다.

이에 소방재난본부는 신규 구급차 도입시 이를 참고하여 안정감 있고 응급처치 공간이 확보된 차량을 구매 배치하겠다고 전했다.
또한,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119구급대의 부족한 부분을 개선해 시민 고객 만족도 100%를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 가정에서의 응급처치

1. 구급상자는 눈에 잘 띄는 곳에 보관한다.
2. 항상 정리 정돈해 둔다.
3. 약이 떨어진 것은 보충해 둔다.

[중독이 되었을때]
- 화학약품이나 가정용 독소를 삼킨 경우 의식 있는 환자에게는 우유나 물을 준다.
- 약이나 불명의 독소를 삼킨 경우 아무것도 주지 않는다.
- 환자를 토하게 하라는 지시를 받지 않는 한 환자를 구토하게 해서는 안된다.
- 119로 신속하게 연락한다.

[감전을 당했을때]
- 환자를 만지지 말고 전원을 차단한다.
- 목이나 척추를 다친 경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환자를 움직여서는 안된다.
- 필요시 인공호흡을 시킨다.

[출혈이 있을때]
- 출혈부위를 눌러 붕대나 반창고를 이용하여 지혈을 한다.

[화상을 당한경우]
- 화상부위를 수건 등을 댄 후 찬물에 담근다.
- 응급조치 후 즉시 병원으로 옮긴다.

문의 : 소방재난본부 재난대응과 ☎ 02-3706-1431

하이서울뉴스/조선기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