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간판, 거리의 얼굴을 바꾼다”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4.10.25. 00:00

수정일 2004.10.25. 00:00

조회 1,210



창작부문 22점, 설치부문 9점 등 ‘좋은 간판’ 시상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아름다운 간판은 거리의 표정을 바꾸는 하나의 예술작품이다. 도시의 첫 인상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도 바로 건물에 내걸린 간판이다.
서울시는 도시의 얼굴인 간판 문화의 수준을 높이고, 바람직한 광고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매년 ‘좋은 간판’ 공모전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어제 오전 10시 서울시청 태평홀에서는 ‘서울시 좋은간판 시상식’이 열렸다. 올해로 15회째를 맞는 이번 공모전에는 지난 8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창작부문 학생부 33점, 일반부 28점, 설치부문 65점 등이 접수되어 ‘좋은 간판’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접수된 작품들 가운데 참신한 아이디어와 건물외벽과의 조화, 실용성 등을 고려하여 우수작들이 선정됐는데, 창작부문 학생부 12점, 일반부 10점, 설치부문 9점 등이 높은 점수를 받아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시상식에 참석한 이명박 서울시장은 “서울의 간판도 해외 도시들 못지않게 점차 아름답게 변모할 것”이라며 “종로 업그레이드 프로젝트와 청계천 주변 상가 간판 정비를 통해 아름다운 서울 거리를 만들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학생부문 올해 처음 공모, 설치부문 수준 높아져

각 부문 금상을 수상한 작품은 독특한 아이디어, 아름다운 디자인, 주변경관과의 조화 등이 다른 작품에 비해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미 기존에 제작 · 설치돼 있는 간판 가운데 좋은 간판을 뽑는 ‘설치부문’ 금상에는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생고기 전문점 ‘生’s’가 뽑혔다.
색감과 아이디어, 디자인에서 손색이 없을 정도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는데, 생고기 전문점이라는 업종을 잘 나타내주면서도 단순미와 유머가 돋보인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밖에도 창작부문 학생부 금상에는 연세대학교대학원에 재학중인 주성용(26)씨가 선정됐고, 일반부 금상은 박현숙(40)씨에게 돌아갔다.

특히 올해 ‘서울시 좋은간판 공모전’의 특징은 창작부문 학생부가 신설돼 많은 대학생들이 직접 서울의 간판을 디자인하는데 참여했다는 점.

작품심사에 참여한 중앙일보 홍은희 논설위원은 “창작부문에 접수된 작품들은 신선함 보다현실성을 감안한 실용성 있는 작품들이 주를 이루었고, 설치부문의 경우 ‘간판의 재미’를 느끼게 해주는 작품들이 다수 출품돼 서울의 간판들이 변화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고 평했다.

한편, 좋은 간판으로 선정된 작품들은 내달 3일부터 10일까지 서울광장에 전시될 예정이다.

■ 종로 업그레이드 프로젝트 … 올해 안으로 총 1,989개 간판 정비

서울의 대표적인 중심거리인 종로를 국제수준의 시범가로로 조성하는 ‘종로 업그레이드 프로젝트’를 통해 올해 안으로 총 1,989개의 간판이 새롭게 정비된다.
특히 종로 4가~6가의 건물 128개동, 838개 간판에 대한 제4차 간판정비사업이 지난 9월부터 시작됐다.

서울시는 건물주의 리모델링과 점포주의 간판정비를 적극 지원, 광고물 정비에는 점포당 500만원 한도 내에서 무상지원하고, 귀금속 도매상가 등과 같이 여러 사업체에서 간판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사업장으로 간주하되 간판제작 비용의 현실성을 감안해서 최고 1천만원까지 보조해 준다.

또한 시에서는 보행에 지장을 주는 분전함 등 지장물의 위치를 옮기고 각종 안내표지판과 가로등, 보도포장 등의 디자인을 새롭게 마련하여 정비함으로써 건물과 가로 전체가 조화를 이루도록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하이서울뉴스 / 한해아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