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서울'에 있어요! 조선왕릉 '헌인릉'
발행일 2020.11.19. 18:02
서울시 서초구 헌인릉길에 위치한 헌인릉은, 조선 제3대 임금인 태종과 왕비 원경왕후의 능인 헌릉과 제23대 순조와 왕비 순원왕후의 능을 합쳐 '헌인릉'으로 부르는 곳이다. 사적 194호로 등록되어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기도 하다. 서초구와 성남시의 경계에 위치한 탓에 간혹 서울 시내에 있는 '조선왕릉'이 아닌 것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헌인릉의 특징은 각 능침으로 올라가는 산책로와 계단이 존재하여 봉분의 형태와 석물 등을 아주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점이다. 인릉은 원래 파주에 조성되었으나, 풍수상 불길하다는 의견이 대두되어 철종 7년에 이곳으로 이장된 이력이 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는 조선왕릉 '헌인릉' ⓒ임중빈
서울 서초구와 경기도 성남시의 경계에 위치한 '헌인릉'의 종합안내도 ⓒ임중빈
화창한 가을 햇살이 비치는 인릉의 정자각 ⓒ임중빈
인릉의 '비각'에는 총 2개의 신도비가 나란히 보존되고 있다 ⓒ임중빈
인릉의 비각은 임진왜란 때 손상되었던 비각과 숙종대에 증설하여 세운 비각 총 2개가 있다 ⓒ임중빈
계단을 이용하여 인릉의 능침 옆까지 올라가서 봉분을 관람할 수 있다 ⓒ임중빈
인릉의 능침에서 아래에 있는 정자각을 내려다보았다 ⓒ임중빈
조선 3대왕인 태종의 왕릉인 헌릉의 정자각 ⓒ임중빈
현재 헌릉의 '비각'은 보수공사 중으로, 내부관람이 어렵다 ⓒ임중빈
헌릉 능침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안내도와 상설도해설이 있다 ⓒ임중빈
조선왕릉 중 관람객이 가장 가까이서 봉분을 관람할 수 있는 '헌릉' ⓒ임중빈
'헌릉'의 봉분을 지키고 있는 '석양' 석물도 가까이서 볼 수 있다 ⓒ임중빈
|
거리두기를 하면서 서울 시내에서 역사여행을 할 수 있는 헌인릉 ⓒ임중빈
■ 조선왕릉 '헌릉과 인릉
○ 위치 : 서울 서초구 헌인릉길 36-10
○ 홈페이지 : http://royaltombs.cha.go.kr/cha/idx/SubIndex.do?mn=RT
○ 문의 : 02-445-0347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