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애국 선열 묘역과 휴식이 있는 '서울효창공원'

시민기자 이한웅

발행일 2020.08.24. 15:38

수정일 2020.08.24. 15:38

조회 96

'서울효창공원'의 시작은 효창원이었다. 조선조 22대 정조대왕 장남인 문효세자와 그의 생모인 의빈 성씨 외 2인의 묘가 있던 곳이었으나, 일제시대에 서삼릉으로 이장하고 효창공원으로 개칭하였다. 광복 후에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몸 바친 애국지사들의 유해를 모신 선열 묘역으로 조성되었다. 독립운동가 7인의 영정을 모신 사당 의열사, 삼의사묘, 임정요인 묘 및 김구 선생님 묘와 백범기념관이 있다. 효창운동장 및 자연 학습관, 체육시설, 어린이 놀이터 및 산책로가 있어 시민들이 자주 찾는 공원이다.

75주년 광복절을 맞이하여 민족정기가 살아 있는 역사 교육 현장 효창근린공원을 찾았다. 애국 선열을 추모하고 독립운동의 의미를 새겨 보았다. 녹음이 우거진 산책로를 걷다 보니, 새롭게 충전하는 시간도 가질 수 있었다.

서울효창공원 정문 창열문으로 입장하는 시민들
서울효창공원 정문 창열문으로 입장하는 시민들 ⓒ이한웅

"우리의 정기 뿌리와 같은 의미를 지니며, 땅의 내부로 귀결되어 소통한다' 푸른 조형물 '점지
"우리의 정기 뿌리와 같은 의미를 지니며, 땅의 내부로 귀결되어 소통한다' 푸른 조형물 '점지' ⓒ이한웅

녹음이 우거진 '유아 동네 숲터' 산책길
녹음이 우거진  '유아 동네 숲터' 산책길 ⓒ이한웅

작은 습지 주변에서 휴식을 하고 있는 시민들
작은 습지 주변에서 휴식을 하고 있는 시민들 ⓒ이한웅

임시정부 요인 (주석 이동녕, 군무부장 조성환, 비서장 차리석) 묘역
임시정부 요인 (주석 이동녕, 군무부장 조성환, 비서장 차리석) 묘역 ⓒ이한웅

안중근 의사 가묘와 삼의사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의사) 묘역
안중근 의사 가묘와 삼의사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의사) 묘역 ⓒ이한웅

광복 70주년 기념 광장의 태극 조형물과 식수한 무궁화 나무
광복 70주년 기념 광장의 태극 조형물과 식수한 무궁화 나무 ⓒ이한웅

임시 정부 주석 백범 김구 선생님 묘역
임시 정부 주석 백범 김구 선생님 묘역 ⓒ이한웅

의열사 옆 태극기가 힘차게 휘날린다
의열사 옆 태극기가 힘차게 휘날린다 ⓒ이한웅

수류탄을 던지는 이봉창 의사의 조형물
수류탄을 던지는 이봉창 의사의 조형물 ⓒ이한웅


■ 서울효창공원
○ 위치 : 서울시 용산구 효창동 효창원로 177-18
○ 입장료 : 무료
○ 문의 : 02-2199-7608

■ 백범 김구 기념관
○ 위치 : 서울시 용산구 임정로 26 (효창동 255번지)
○ 입장료 : 무료 
○ 문의 : 02-793-3400
○ 홈페이지 : http://www.kimkoomuseum.org

(※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에 따라 임시휴관)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