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전용 '청춘극장' 1,400원에 영화 보세요

시민기자 최병용

발행일 2019.12.05. 13:08

수정일 2019.12.05. 13:09

조회 616

제로페이는 카드나 현금을 소지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 앱으로 결제하면 소비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구매금액이 이체되는 새로운 결제방식이다. 소상공인들에게는 수수료가 전혀 없어 사실상 카드 수수료를 없앤 간편결제 시스템이다. 특별히 제로페이를 사용하면 1,400원에 영화를 볼 수 있다는 소문을 듣고 서대문역 5번 출구에 있는 청춘극장을 찾았다.

문화일보 홀 청춘극장

문화일보 홀에 있는 청춘극장 ⓒ최병용

서울시가 위탁 운영하는 실버전용 청춘극장은 55세 이상 어르신 및 어르신 동반자가 이용할 수 있다. 마릴린먼로나 오드리햅번이 주인공인 오래된 추억의 영화를 상영하기도 하고 유랑극단쇼나 음악교실(오카리나, 하모니카 교육)이 열리기도 한다. 이곳에서는 영화비 2,000원으로 하루 3번의 영화를 다 볼 수 있다. 영화를 보지 않아도 앉아서 쉴 수 있는 소파가 많이 구비돼 어르신들이 친구들과 담소를 나누기도 좋다. 호흡기와 심장제세동기도 구비해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청춘극장 내부 모습

청춘극장 내부 모습 ⓒ최병용

영화 관람료가 2,000원이지만 제로페이로 결제하면 1,400원으로 무려 30%를 할인 받을 수 있다. 55세를 넘긴 기자도 1,400원에 <이오지마의 영웅들>이란 오랜된 영화를 한편을 봤다. 오래 전 개봉했던 영화라 줄거리가 가물가물 했지만 마치 30여 전의 젊은 시절로 돌아가는 기분이 들어 좋았다. 청춘극장을 찾은 친구, 부부 어르신들께 청춘극장에 대한 생각을 물었더니 "서울시가 너무 잘한 정책이다. 노인들이 갈곳이 별로 없는데 여긴 5천원이면 하루 종일 놀 수 있다"라고 한다.

제로페이로 결제하면 30%가 할인된다.

제로페이로 결제하면 30%가 할인된다 ⓒ최병용

매표소 앞에는 어르신들이 제로페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세한 안내문구가 부착되어 있다. 제로페이는 주거래 은행의 앱을 설치하고 이용동의-본인인증-비밀번호 등록-계좌번호 등록을 한 후 사용이 가능하다. 물건을 사거나 표를 예매할 때 제로페이 앱을 실행시키고 QR코드를 생성시켜 제시만 하면 된다.


제로페이 앱


제로페이 이용 캡처 화면

청춘극장은 한편의 영화가 끝나도 자리에서 일어나 나갈 필요가 없다. 지정석이 없기 때문에 아무 자리나 앉아 다른 영화를 무제한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영화가 끝나고 흰머리로 연세를 짐작할 수 있는 어르신들이 영화관을 나가지 않고 자리에 앉아 다음 영화를 기다리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청춘극장 내부

청춘극장 영화관람실 내부 ⓒ최병용

청춘극장에서는 어르신들이 요기도 하고 간식 거리가 될 수 있도록 연한 커피와 진한 커피로 구분해 100원에 판매하고 가래떡 구이를 개당 200원에 판매한다. 출출한 어르신들에게 건강한 간식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인스턴트 식품이 아닌 가래떡구이를 판매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100원짜리 커피와 200원짜리 가래떡

100원 커피와 200원 가래떡 판매대 ⓒ최병용

청춘극장은 매달 추억의 영화 4~5편을 선정해 하루에 3번 상영한다. 매주 수요일은 영화 대신 참여공연을 하는데 특히 오후 3시에는 '청춘은 떼창이다'를 열어 함께 부를 수 있는 연주곡을 들려준다. 청춘극장은 평일에도 100명 가까운 어르신들이 찾아오지만 토요일에는 전좌석(260석)이 꽉 찰 정도로 많은 어르신이 찾는다고 하니 예매를 하고 가야 한다.

●청춘극장

- 운영시간 : 오전 9시 30분~오후 6시(매주 일요일 휴관)
- 위치 : 문화일보 홀(지하철 5호선 서대문역 5번 출구)
- 매주 토요일 오후 1시, 3시 청춘유랑극단쇼 문화공연(금요일 15시까지 예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