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먹을 때 주의해할 음식 7가지
발행일 2019.09.30. 10:51
우리는 약을 얼마나 잘 알고 먹고 있을까? 약은 우리에게 멀리 있고 어려운 것이 아니라 가깝게 있고 쉽게 만날 수 있는 친근한 벗임을 알 수 있는 행사가 있었다. 지난 9월 22일 서울광장에서 서울시 약사회에서 주관하는 ‘2019 건강서울 페스티벌’이 열린 것. 올해로 7회를 맞은 ‘건강서울 페스티벌’은 이전보다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프로그램이 많았다. 어린이 약사 직업체험과 상담부스 설치, 도슨트 투어체험을 운영하고 건강관련 게임이나 포토존 운영 등으로 약사와 시민 간의 소통 및 시민 건강증진을 위해 마련된 축제였다.
어린이 약사체험에 참여 중인 어린이들 모습 ⓒ조시승
특히 관심이 집중되었던 프로그램은 의약품에 관한 OX퀴즈였다. 약에 대한 상식과 지식을 경연을 통해 업그레이드 시키는 행사로 많은 참여도를 보였다. 푸짐한 상품은 덤이었다. 난이도가 낮은 문제부터 점점 높은 문제로 넘어 갈 때마다 아쉬운 탄성과 함께 잘못 알고 있던 건강상식, 약복용상식을 환기시킬 수 있었다.
특히 의약품을 먹을 때 주의해야 할 음식 7가지 퀴즈는 꼭 알아 두어야 할 기초상식이었다.
의약품을 먹을 때 주의해야 할 음식 7가지
1. 감기약이나 진통제를 먹을 때 피해야 할 음식은 초콜릿과 커피다. 진통제나 감기약 등에는 '카페인'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카페인 함량이 높은 초콜릿과 커피를 함께 섭취할 경우 서로 결합해 불안, 구토, 불면증, 심장 두근거림, 어지러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술도 피해야 하며 함께 복용시 위나 간에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2. 수면제 먹을 때 피해야 되는 음식 술이다. 수면제와 술을 같이 복용하게 되면 중추신경계를 억제하여 호흡마비가 올 수 있다.
3. 변비약과 같이 먹으면 안되는 음식은 우유이다. 약 알카리성인 우유의 경우 위산을 중화시켜 장까지 가야하는 변비약을 녹여버리므로 함께 먹으면 약효가 많이 떨어지고 복통도 생길 수 있다.
약조제하는 과정을 체험하고 있는 어린이들 ⓒ조시승
4. 만성병 고혈압 약을 먹을 때 피해야 하는 음식은 바나나, 녹차 포도주스, 자몽주스다. 바나나는 나트륨 배출을 돕는 칼륨이 풍부한 음식으로 이뇨제 성분의 고혈압약 섭취시 몸 속 칼륨 농도가 지나치게 상승해 '고칼륨혈증'이 생길 위험이 있다. 즉 심박수가 급격히 상승하거나, 심장마비가 올 수 있다. 녹차는 고혈압약을 같이 먹으면 녹차 속 카테킨이라는 성분이 고혈압 약의 체내 흡수를 방해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치즈에는 풍부한 티라민이 고혈압약에 포함된 파르길린 성분의 작용을 억제해 뇌졸증을 일으킬 수 있다. 포도주스와 자몽주스에는 식물색소 플라보노이드가 고혈압약을 분해하는 효소 작용을 방해해 고혈압약 농도가 상승하면서 급격하게 혈압이 저하되니 삼가해야 한다.
'2019 건강서울 페스티벌'에서는 약사와 함께 의약품에 관한 ox 퀴즈를 진행했다 ⓒ조시승
5. 정신질환치료제 · 고지혈증치료제와 같이 먹으면 안되는 음식은 자몽이다. 정신질환 치료제인 항불안제는 혈액의 지방 성분을 줄여주는 고지혈증 치료제와 함께 자몽을 함께 섭취하면 약이 분해되지 않고 약효가 과도해질 수 있다.
6. 칼슘보충제와 커피도 함께 먹지 말아야 한다. 커피의 카페인 성분이 칼슘의 배출을 촉진시켜 칼슘보충제의 복용효과를 상쇄한다. 또 빈혈약, 비타민제를 먹을 때 약초로 만든 차를 함께 먹으면 약초성분이 빈혈약, 비타민제의 성분을 변화시켜 약효를 떨어뜨리거나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하니 금해야 한다.
7. 골다공증 치료제와 보리차, 광천수를 함께 먹으면 함량이 높은 미네랄이 약의 흡수를 방해한다.
의약품 안전사용에 관한 내용을 공연 중인 인형극 ⓒ조시승
또한 상담부스와 도슨트 투어에서는 약의 오·남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올바른 의약품을 보관하는 4가지 알찬 예방교육도 병행되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약은 정해진 시간에 지속해서 복용할 것과 복용시 반드시 1회용량을 먹어야 한다. 그전 복용시간을 놓쳤다고 해서 용량을 늘리지 말아야 한다.
둘째,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절대 음용하지 말아야 한다. 눈에 사용하는 안약의 경우 개봉 후 1개월 이내에 사용해야 하고 1회용으로 생각,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것이 좋다.
셋째, 약은 꼭 충분한 물과 함께 먹어야 약이 식도에 달라붙지 않으며 커피나 주스를 물대신 음용하면 효과가 반감된다. 특히 종합감기약, 진통제와 함께 복용시 중추신경을 흥분시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넷째, 약의 보관은 온도와 습도가 높은 곳에 보관하면 약성분의 분자구조가 변해 변질되기 쉽다. 직접적인 햇빛 노출과 고온다습을 피해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약대생들로 구성된 플래시몹 단원들이 공연을 마치고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조시승
‘2019 건강서울 페스티벌’ 행사는 약국을 서울광장으로 옮겨 시민과 함께 한 페스티벌이었다. 약사들의 친절하고 자상한 건강상담과 함께 다양한 건강체험 프로그램으로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다가오는 100세 시대, 시민과 가까운 건강관리자로 거듭나자'는 캐치 프레이즈에 걸맞게 행사는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었다. 특히 이번 행사는 어린이들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며 시민과 친근하게 만나 함께 건강한 삶을 준비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더욱 알차고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