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형무소역사관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4.09.09. 00:00
시민기자 최중매 | ||
한국어를 공부하는 일본대학생들인데 한국어로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설명해달라는 부탁을 받았을 때 나는 좀
망설였다. 그래도 극복해야 할 과제라 생각하고 일단 부딪혀 보기로 했다. 8명의 학생을 영상실에 모아놓고 나는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이 일본인에 의해 1908년 세워졌다는 것, 이곳은 일본이 일본의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한국의 애국독립 열사들을 감금, 고문, 투옥, 사형시키기 위해 세운 곳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역사적인 사실만을 보기로 하자고 운을 떼었다. 원래 보안청사였던 1층, 2층에 각각 전시되어 있는, 을사 5적중의 한 명인 이완용을 살해하려다 실패해 서대문형무소에서 24세때 사형당한 이재명의사, 일본총독 사이또 마코또에게 폭탄을 던져 남대문역(현재 서울역)에서 암살하려다 37명의 사상자만 낸 채 보름 후 잡혀서 서대문형무소에서 사형당한 65세의 강우규의사, 창덕궁 금호문에서 거사를 일으켰던 송학선의사 등을 소개했고 이어 1894, 1896, 1905. 1907, 1910년 당시 한국과 일본관계를 설명했다.
임시 구금실이자 고문의 현장인 지하로 내려가 고춧가루고문, 물고문, 비행기고문, 전기고문, 손톱바늘고문, 성고문등을 보여주면서 특히 당시 일본은 재정러시아가 폴란드를 탄압할 때 썼던 72가지 고문방법들을 그대로 썼었다는 보충 설명을 잊지 않았다. 이어 T자형으로 지어진 9, 10, 11, 12호 감옥과 공작사로 군수용품을 생산해냈던 형무소내 공장인 13호, 나병사, 기념비, 사형장, 문과 유관순열사가 감옥에서 동료 이신애와 함께 독립만세운동 1주년을 맞아 만세를 외치다 고문으로 죽어갔던 여성 지하감옥을 보았다. 높이 1미터를 채 넘지 않는 감옥이었다. 마지막으로 감시탑이었던 6개의 망루중 현존하는 2개의 망루를 바라보며 서대문 형무소역사관을 본 소감을
물어보았다. 관람하는 내내 마음이 편치 않았다는 고백이 있었다.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