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대중교통, 더욱 빨라지고 편리해졌다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5.06.23. 00:00
버스회사에서 관리하던 수입관리와 노선선정도 시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준공영 개념으로 바뀌어 서울시 버스운영체계가 수입 위주의 운영에서 시민 편의를 고려한 공익적 개념으로 변화 되었다. 교통운행관리에 IT기술을 접목한 점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특히 BMS(Bus Management System)를 통한 운영관리로 배차 간격이 유지되고, 스마트카드의 도입으로 대중교통 환승과 비례요금제를 시행한 점은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무엇보다도 시민들이 체감하는 것은 버스가 전보다 빨라지고 정확해졌다는 것. 서울시는 버스 속도 개선과 배차간격을 줄이기 위해 중앙버스전용차로 등 버스우선인프라를 확충했다. 시정개발연구원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작년 10월에 0.54를 보이던 지수가 최근 5월엔 0.37을 보여
버스시간 준수가 점차 나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표값은 권역별 대표 12개 노선의 평균값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정시성이 높은
것을 의미) ![]() 대중교통의 서비스가 향상되자 자연스럽게 이용객 수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북경시, 서울의 교통체계
벤치마킹…세계 언론에도 서울사례 소개돼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서울의 대중교통 개편이 주목 받고 있다. 또한 세계 유수의 교통관련 언론에서도 서울의 사례가 소개되고 있다. 세계은행(World Bank)에서도 서울버스개혁사례를 해외 대도시에게 소개할 필요를 느끼고 보고서 출간 협조를 요청해왔다. 아시아 개발은행(ADB)은 방콕, 하노이 등 아시아 대도시 교통간부들을 초청하여 서울에서 대중교통세미나(5일간)를 내년 4월에 개최하자고 요청하였고, 로마에서 열린 세계대중교통 총회 및 전시회에서도 많은 이들이 서울의 교통개편 내용과 교통카드, BMS등에 관심을 보였다. ■ 환승센터 건립 등 교통시스템 정착
위한 추가 계획 진행키로 향후 버스개편의 중점은 통합된 대중교통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중앙버스전용차로도 7월초 망우, 왕산로 개통에 이어 내년까지 4개노선이 추가 건설되고, 가로변 전용차로는 11개 노선 23.5km 구간이 확대될 전망이다. 종로소방서에 위치하게 될 이 시스템은 노선과 배차관리, 버스업체 경영평가 등 다양한 항목들을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어 과학적인 교통정보수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한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도입되어 수도권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불편을 덜어주게 된다. 인천버스는 다음날에, 경기버스는 올해말까지 환승 할인을 도입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이밖에 버스노선 추가 조정, 버스 운송수지 개선, 운전자 탄력교대근무제 등 교통개편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음성직 서울시교통정책보좌관은 “서울의 교통개혁을 전세계가 주목하고 있다”고 말하며 “시민의 발인 대중교통이 효과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편의시설 구축과 시스템 정착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 |||
하이서울뉴스 / 조선기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