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에 수목원, 망우동에 소풍공원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4.07.05. 00:00

수정일 2004.07.05. 00:00

조회 2,120



● 인근 삼림과 연계하여 복원 … 쉼터이자 자연학습장으로

서울 시내에 최초로 수목원이 조성되고, 전국 최초로 소풍공원이 만들어진다.
서울시는 민선 3기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생활권 녹지 100만 평 늘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구로구 항동 10-1번지 일대 5만여 평 부지에 수목원을 조성하고, 중랑구 망우동 산 30-7번지 일대 3만8천여평 규모의 소풍공원을 만든다.

개발제한구역 내 무단경작 등으로 훼손된 지역을 인근 산림과 연계하여 복원하는 수목원과 소풍공원은 서울시민들이 즐겨 찾는 쉼터이자 자연학습장으로 활용된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지난달 30일 기본계획수립을 완료하였고, 두 곳 모두 오는 2006년 개원할 계획이다.

서울시 공원녹지기획단 최용호 과장은 “항동에 조성되는 수목원은 차별화된 서울의 대표적인 수목원이 될 것이며, 어린 시절 추억을 떠오르게 하는 소풍 공원은 숲과 소풍을 테마로 만들어져 시민들이 즐겨찾는 명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항동 수목원 … 500여 종의 다양한 식물 식재 ‘서울의 대표적인 수목원으로’

서울 시내에 처음으로 조성하는 항동 수목원(가칭)에는 총 301억원을 들여 자연생태적인 산림, 습지, 초지 등을 이루도록 500여 종의 다양한 식물들을 심는다.
특히 현재 전답에 물을 대는 저수지는 습지 식물원으로 이용하는 등 기존의 자연환경을 활용할 계획.

우선 경작지와 훼손 지역 위주로 1차 구역 3만500평에 자연탐방로, 생태숲, 임간학습장, 수변전망대, 생태연못, 휴게광장 등이 설치돼 시민들의 휴양과 여가 생활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양한 식물종을 보존하여, 청소년과 시민들에게 자연학습과 학술연구의 장소로 제공된다.


망우동 소풍공원 … 숲과 소풍 테마 ‘전국 최초 소풍공원’

소풍과 자연을 테마로 숲을 복원하는 망우동 소풍공원은 총 231억을 들여 조성된다. 역시 경작지와 훼손지 위주의 1차 구역 1만2천여 평에 생태습지원, 가족피크닉장, 잔디마당 숲 쉼터, 맨발건강원 등이 우선 만들어진다.

특히 맨발건강원은 황토길, 대나무길, 자갈길, 잔디밭, 세족장 등 다양한 시설로 구성하여 신발을 벗고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 웰빙시대를 맞아 시민들로부터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인근 산림지역과 연계하여 녹지가 복원돼, 나들이와 자연학습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여가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특히 망우동 일대가 공동묘지라는 부정적인 편견도 벗게 될 듯.

● 2006년 개원 … 인터넷으로 이름공모

항동 수목원과 망우동 소풍공원 가운데 우선 조성하는 1차 구역에 대해서는 올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사이에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과 도시계획 시설 결정을 추진하고, 내년 1월부터 토지 및 지장물에 대한 보상을 실시한다.

내년 6월에는 조성공사에 착공하여, 항동 수목원은 2006년 12월 개원하고 망우동 소풍공원은 2006년 6월 전에 개원할 예정. 단, 토지 보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조성시기는 다소 앞당겨질 전망이다.

사업비는 수목원의 경우 건설교통부로부터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비와 산림청으로부터 1도 1수목원 등의 국비를 최대한 지원받아 추진할 계획이며, 소풍공원 역시 최대한 국비를 지원받아 활용할 방침.

또한 수목원과 소풍공원에 대한 명칭은 인터넷을 통해 시민 의견과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기억하기 쉽고 부르기 쉬운 친근한 이름으로 명명하기로 했다.


하이서울뉴스 / 한해아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