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인들의 ‘다시 서기’를 돕습니다

admin

발행일 2007.04.09. 00:00

수정일 2007.04.09. 00:00

조회 1,562


지난 9일 저녁7시께 어둠이 내리기 시작한 서울역 광장에 거리노숙인들이 삼삼오오 모여 들었다. 노숙인들을 안전한 쉼터로 안내하기 위한 현장설명회가 열린 이날, 서울시 공무원과 자치구, 노숙인 보호시설 관계자 300여 명이 노숙인들의 시설입소를 돕기 위한 길거리 상담을 펼쳤기 때문.

눈빛을 반짝이며 귀 기울이는 노숙인이 있는가 하면, 채 시작도 하기 전에 발길을 돌리는 사람도 있었지만 의료지원과 자활프로그램 지원 등이 제공되는 쉼터, 상담보호센터에 대한 노숙인들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성과를 거두었다. 어려움을 이겨내려는 희망의 불씨가 지펴지는 순간이다.

거리건강 상담, 쉼터입소 등 지원

일상의 생활로 복귀하려는 의욕조차 없는 노숙인들에게 가장 시급한 것은 건강관리, 자활교육 등을 받을 수 있는 복지시설에 입소하는 것. 서울시가 거리노숙인 쉼터입소 추진에 발벗고 나섰다.

서울시 전체 노숙인 3,251명의 19%에 해당하는 605명이 거리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시는 거리노숙인 보호에 치중하던 정책에서 한발 더 나아가 거리노숙인의 시설입소 정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더 이상 거리에서는 노숙인의 위생·질병 관리가 어렵기 때문.

9일 현장 설명회에서는 노숙인 시설의 위치, 특성, 입소절차 등 기초정보, 거리노숙으로 인한 건강악화, 안전사고 노출 등 위험성, 시설입소시 받을 수 있는 숙식, 의료지원, 일자리제공, 전세자금지원 등의 혜택을 집중 홍보하는데 주력했다.

그런가 하면 노숙인들에게 자립의 희망을 불어주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추진된다.
알코올 의존·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거리노숙인의 치료와 재활을 위해 서부역과 영등포 광장에서 거리 건강상담반을 개설, 운영하고 있다.

거리노숙인이 언제든지 방문할 수 있도록 24시간 상담이 가능하며, 알코올·정신질환 노숙인의 응급조치나 쉼터·상담보호센터 입소 안내 등 각종 의료정보를 제공한다. 여성 노숙인의 정신질환 치료를 전담할 수 있는 ‘여성노숙인 재활전문쉼터’도 7월 완공을 목표로 한창 추진 중이다.


실질적인 자립 돕는 ‘일자리 갖기’ 사업…건설공사 현장 등 670명 참여

한편, 근로능력과 자립의지가 있는 노숙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여 자립과 사회복귀를 돕는 ‘2007 노숙인 일자리 갖기 사업’이 3월 5일부터 시작되었다.

올 한해 동안 서울시가 발굴하여 노숙인에게 제공하는 일자리는 건설현장 일자리 300개 등 총 670개의 일자리. 사전에 실시한 건강검진과 교육에서 특별한 이상이 없는 한 참여를 신청한 모두에게 일자리가 제공된다.

일자리 참여 대상은 쉼터 등 시설입소 노숙인을 위주로 하였으나, 올해에는 일부 쪽방 거주자에게도 참여할 수 있게 범위를 확대했다.

일자리 갖기 사업은 연말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지며, 근로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노숙인을 고려해 공원, 녹지, 하천 청소 등 단순근로 위주의 일자리도 제공된다. 또한 근로 시간과 일자리 유형에 따라 일일 4시간 근무시 2만원, 8시간 근무시 3~5만원의 임금이 지급되며, 서울시가 일부 인건비 50%를 지원한다.

한편, 지난해에는 3차에 걸쳐 ‘노숙인 일자리 갖기 프로젝트’ 사업을 실시해 총 1,400개의 일자리를 제공하여 월 평균 600여 명이 지속적으로 일자리에 참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일자리 참여자 중 800여 명은 저축통장을 개설할 수 있었고, 일부는 일천만원이 넘는 귀중한 돈을 저축하여 자립의 계기를 마련한 성공적인 사례도 있었다.

서울시는 올해도 내실 있는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예정이다. 또 직업교육훈련 기회를 확대하여 노숙인에게 안정적 취업의 기반을 제공할 계획이다.

문의 ☎ 02-6360-4542 (서울시 노숙인자립지원반)


하이서울뉴스/이현정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