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9 기억 하세요”

admin

발행일 2006.10.02. 00:00

수정일 2006.10.02. 00:00

조회 1,280

연휴동안 혹시 발생할지 모를 각종 사고나 질병에 대비해 집 주변 응급실이나 약국의 정보를 미리 갖고 있는 것이 좋겠다. 동네 병원이나 약국이 문을 닫았다면 당황하지 말고 1339 전화번호를 이용하자. 서울응급의료정보센터 1339에서는 당직의료기관 및 약국에 대한 24시간 실시간 진료를 안내해 준다.

또 서울시 비상진료대책상황실(전화번호 02-3707-9133,4)도 비상근무체제를 실시하며 25개 자치구 보건소에도 진료안내반이 운영된다.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 및 구청 홈페이지에서도 운영하는 의료기관 및 약국 명단을 확인할 수 있다.

추석 연휴기간동안 진료가 가능한 곳은 서울시에서 지정한 56개 응급의료기관을 포함해 종합병원 및 기타 병원급 응급실 등이다. 또 자치구 별로 진료 여건을 고려해 보건소 내에 진료반을 운영하며 지정일에 진료를 실시한다.

기타 의원급 의료기관은 의사회를 중심으로 자율적 순번제로 운영되며, 서울시내 약국은 지역별로 당번약국을 지정, 운영하는 등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연휴기간 동안 시민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마친 상태이다.

가정에서는 응급환자 발생에 대비해 소화제등 필수약은 미리 구입하고, 연휴기간동안 문을 여는 병원과 약국은 미리 알아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역 응급의료기관 현황


※ 권역응급의료센터 : 서울대학병원(2072-2114)
※ 전문응급의료센터 : 연세대영동세브란스(외상, 3497-2114), 서울아산병원
※ 전문응급의료센터 : (독극물, 3010- 3114), 한강성심병원(화상, 2639-5114)


하이서울뉴스 / 김현아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