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가치 높은 서울로 오세요!”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6.01.27. 00:00
글로벌 기업 CEO 대상으로 마곡지구의 투자 매력과 인센티브 등 소개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 WEF ‘다보스 포럼’) 연차총회에 참석한 이명박 서울시장이 26일(목) 오전 7시 30분(현지시간) 발드후스 호텔에서, 한국에 투자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의 CEO(최고경영자)들을 초청하여 마곡 R&D시티 투자 유치 설명회를 가졌다. 조찬을 겸해 개최한 ‘마곡 R&D시티 투자 유치 설명회’에서 이명박 시장은 마곡지구의 투자 매력과 인센티브 등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면서 외국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를 당부했다. 설명회에 참석한 글로벌 기업의 CEO들은 투자 설명회 내용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서울시의 적극적인 투자 유치 노력에 대해 “깊은 감명을 받았다”는 뜻을 전했다. 설명회 자리에는 윌리암 R 로더스(William R. Rhodes) 씨티은행 회장, 앙트레니그 사칸스키(Antranig Sarkissian) 시티그룹 이사, 마크 포스터(Mark Foster) Accenture 회장, 마틴 J 셜리반(Martin J. Sullivan) AIG 회장, 도널드 P 카낙(Donald P. Kanak) AIG 부회장, 카이 S 나골왈라(Kai S. Nargolwala) Standard Chartered Bank 이사 부부가 참석했다. 조찬에 참석한 글로벌 기업의 CEO들은 “한국의 여러 곳에 투자를 했지만, 서울만큼 투자 가치가 높은 곳을 찾지 못했다.”면서 서울의 투자 적격지로서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했다. 아울러 이들은 우리나라 인적자원의 우수성을 인정하면서도, “노조의 경직성이 투자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우리 경제의 현실적 문제점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한편, 윌리암 R 로더스(William R. Rhodes) 씨티은행 회장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체결이 양국에게 모두 도움이 될 것”이라며 “FTA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명박 시장 ‘아시아의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한 도시간 · 국가간 협력 필요성’ 연설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 세계경제포럼 회장의 특별 초청으로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되는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 WEF ‘다보스 포럼’) 연차총회에 참석 중인 이명박 서울시장은 26일의 투자 유치 설명회에 이어, 27일(금)에는 ‘아시아 재통합(Reshaping Asian Integration)’이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특별 만찬 세션에서, 서울시의 환경친화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주요시책의 성과에 대하여 설명하고, ‘아시아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한 도시 간, 국가 간 협력의 필요성’에 대하여 연설했다. 또 28일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 회장 면담과, 포럼 참석자들과의 토론 및 개별 면담 등을 통해 서울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 유치 노력을 기울였다. 이번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 WEF ‘다보스 포럼’) 연차총회에는 정부각료, 국제기구 대표, CEO, 언론인, 학자 등 90개국 저명인사 등 2,0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창조적 대응(The Creative Imperative)’을 주제로 중국과 인도의 부상, 경제적 지각변동, 미래의 직업, 공사부문조직의 신뢰, 혁신·창조 그리고 계획전략 등 국제사회 주요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이명박 시장의 다보스포럼 참석은 청계천복원, 대중교통체계개편, 기업친화적인 환경구축 등 서울시의 혁신적 노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다보스포럼의 위상, 규모, 참가자 등을 고려할 때 서울시의 국제적 위상 강화를 통해 앞으로 동북아 중심도시로의 도약을 이끄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의 : 서울시 산업국 국제협력과 ☎ 02)6321-4488 | |||
하이서울뉴스 / 김효정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