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융합기술의 심장 ‘마곡 R&D 시티' 조성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5.12.20. 00:00

수정일 2005.12.20. 00:00

조회 1,657


강서구 마곡지구…IT·BT·NT 첨단융합기술 R&D 및 국제업무 단지로 조성

최근 세계 첨단기술이 IT·BT·NT 등 이종(異種) 기술 간의 융합을 통해 기존의 기술적 한계를 넘어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을 창조하는 방향으로 전환되는 분위기 속에,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가 첨단융합기술의 심장부로 조성된다는 청사진이 발표됐다.

서울시는 강서구 마곡동과 가양동 일대 103만평 규모의 마곡지구를 아시아 경제중심 도시를 위한 전략거점 지역으로 설정하고, IT·BT·NT의 첨단융합기술(Fusion Technology) R&D 시티(MRC)로 조성하는 계획을 수립했다고 20일 발표했다.

‘마곡 R&D 시티’ 조성은 우리나라가 갖고 있는 아시아 중심지로서의 입지적 장점과 방대한 시장 잠재력, 세계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 우수한 인적자원 등을 바탕으로 서울을 아시아 경제중심 도시로 육성하고 서울의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이다.

마곡지역은 서울 도심에서 13㎞ 거리로, 인구 100만명 이상인 주변국 43개 도시와 평균 2시간대에 연결할 수 있는 김포공항과 인천국제공항이 직결되는 서울의 관문 지역이라는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또 지하철 5호선·9호선(2008년 개통 예정) 및 인천국제공항철도(2010년 건설 예정) 등 교통 경쟁력까지 갖춰 첨단산업 R&D 단지와 국제업무 단지로서 최적의 입지로 평가되는 지역이다.

전체를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

서울시는 미래형 첨단산업의 수요 증가에 대비해 사업을 4단계로 나눠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환경친화적인 단지 조성을 위해 적정수준의 밀도를 계획하고 있다.

마곡지구는 지하철 9호선과, 공항철도 환승역~5호선 마곡역으로 이어지는 남북 ??향 핵심기능 축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루어진다.

2006년부터 시작되는 1단계 사업은, 핵심기능 축 내 환승역세권 일대 47만평에서 이루어진다. 컨벤션센터와 국제전시장, 국제업무빌딩 등 국제업무 기능을 담당하는 시설이 주로 유치되며, 국제업무지역 중심 동서 방향 양측으로는 IT·BT·NT 기술융합 첨단 R&D 단지가 배치된다.

2단계 마곡지구 북측 23만평은 상암 DMC 완료 이후 첨단산업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부지로, 첨단산업 관련 지원 시설과 우수 인력 유치를 위한 고급 주거 단지가 들어선다.

3단계 방화로변의 19만평에는 1~2단계 조성 지역의 추가 지원 시설과 연구개발센터가 조성되고, 4단계로 설정된 북측의 14만평은 미래 수요에 대비한 유보지로 설정한다는 방침이다.

‘마곡 R&D 시티’는 전체 부지를 하나의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하고, 기반시설 설치와 함께 부지 조성 등을 추진하는 공영개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사업은 서울시 SH공사에서 시행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2006년 3월까지 용도를 생산녹지에서 자연녹지로 변경하고, 11월까지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 및 개발 계획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2007년에는 실시 계획 승인 및 토지 매수 단계를 거쳐, 2008년부터 사업에 착수하여 단계별로 시행할 계획이다. 토지는 1단계 구역부터 공급하게 된다.

한편, ‘마곡 R&D 시티’ 조성으로 예측되는 경제적 효과도 상당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 시정개발연구원이 서울 경제 모형을 적용하여 ‘마곡 R&D 시티’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공공·민간 부문에서 약 12조 3천억원(공공 6천억원, 민간 11조 7천억원)의 투자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25조 8천억원(제조업 1조 6천억원, 서비스업 24조 2천억원)의 생산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한 연인원 19만명(제조업 6천명, 서비스업 18만4천명)의 고용 창출 효과도 전망하고 있다.

세계적 연구소, 국내외 기업, 대학 연구센터 유치 예정

‘마곡 R&D 시티’에는 세계적 연구소와 국내외 기업, 대학의 연구센터 등이 유치될 예정이어서 국내외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의 바텔 연구소와 벨 연구소, 일본의 이화학연구소 등 세계적 연구소를 비롯해 국내외 기업과 투자자들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서울시는 국내 대기업 연구소·국내 유수 의과대학 임상 실험 연구센터와 해외 유명대학의 MBA 과정도 유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내외 투자유치 전략은 초기 단계부터 펼쳐질 예정이다.
우선 뉴욕, 런던, 홍콩 등 세계 대도시에서 해외투자 설명회를 개최하는 것으로부터, 내년 3월 서울에서 개최 예정인 FT컨퍼런스(Financial Times Conference) 등 국제투자유치 회의 시 적극적 마케팅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또한 금융투자관·금융도시담당관을 신설하는 등 해외투자유치 전담기구 설치도 계획하고 있다.

공릉동 NIT, 상암동 DMC와 함께 첨단기술 R&D 벨트 형성

IT·BT·NT가 융합되는 미래 첨단기술의 리딩센터(leading center)로 ‘마곡 R&D 시티’가 조성되면, 공릉동 NIT, 상암동 DMC와 함께 서울의 첨단기술 R&D 벨트를 형성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제조업 중심의 구로·금천 디지털산업단지 및 파주 LCD 단지,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지원하는 첨단기술 R&D 시티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11월 25일 착공한 공릉동의 테크노폴리스는 NT와 IT의 융합기술이 특화된 NIT 단지로 2014년까지 조성될 계획이다.
상암동 DMC 지역은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중심의 IT 단지로, 한독산학협동컨소시엄을 비롯한 세계적인 연구소와 기업이 입주할 예정이다. 2004년 12월 착공했으며, 2007년 준공을 앞두고 있다.

문의 : 서울시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 02)731-6342


하이서울뉴스 / 김효정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