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아파트가 고급스러워진다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5.08.01. 00:00
![]() 18평형이하 건립은 중단하고 22평형, 26평형, 33평형 위주로 공급 임대아파트는 서민용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한다. 서울시는 지난 1일 임대아파트의 평형규모를 늘리고 자재도 분양아파트와 동일하게 사용하는 등 고품격아파트로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임대아파트는 평형이 작아 저소득층만이 거주한다는 인식을 바꾸기 위해 서울시는 임대 아파트 건립 시 평형별 건립비율을 22평형 30∼40%, 26평형은 40%로 하고 특히 시민들이 선호하는 33평형을 10%에서 30%까지로 확대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40평형의 임대아파트를 공급하여 중산층도 입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반면 현재 운영중인 임대아파트의 96%가 18평형이하의 소규모아파트이므로 서울시는 앞으로 18평형 이하의 아파트 건립은 중단하기로 했다. 또 기존의 임대아파트와 달리 당산, 장월, 마장, 발산, 은평, 천왕, 강일, 상암, 은평, 상계, 마천, 세곡, 신내 등 서울시가 임대주택 10만호 건립계획에 의해 추진 중인 아파트는 분양아파트와 동일한 수준의 자재로 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국민주택건설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1천 가구 이상 규모의 단지에 대해서는 턴키방식으로 일괄 발주하여 우수업체가 시공에 참여하도록 해 우수 시공업체의 브랜드를 활용하는 등 국민주택에 대한 이미지도 개선하기로 했다. 단지 내 분양아파트를 중대형으로 공급하는 등 계층융합 단지로 조성 서울시는 또 임대아파트 단지 총세대수의 1/2~1/3은 분양아파트로 건립하고 있으며 그 중 40% 이상은 45평형규모의 대형으로 임대주택단지가 저소득층만 거주하는 것이 아니라 중산층도 함께 살 수 있도록 계층융합(Social Mix)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서울시 주택기획과 임옥기 과장은 “임대아파트에 입주할 경우 임대료가 주변시세의 60~80% 가량만 부담하면 될 정도로 저렴하고” 또 “임대주택에 입주한 경우에도 내 집 마련을 위한 청약통장 순위는 그대로 유지되어 분양주택 청약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 서울시의 임대주택 공급량은 총11만 4천가구로 기초생활수급권자 9만1천세대가 거주하고 있다. |
하이서울뉴스 / 권양옥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