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일 당신이 설날 차례 지내러 내려갈 시골집이 없는 서울 토박이라거나, 번잡한 성묫길을 피해 미리 성묘도 다녀왔다면, 가족들과
함께 무엇이든 해야 할 것만 같은 길면 7일, 짧으면 3일간의 설 연휴를 얇아진 보너스 봉투를 들고 걱정만 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서울의 공원과 박물관, 고궁에서 열리는 설맞이 문화 행사 및 겨울방학 특별교실들을 잘 찾아보면 역사, 미술 등 문화활동은 물론
다양한 야외 활동으로 겨울을 활기차게 보낼 수 있을 테니 말이다. 서울시 문화재과 김광두 주임은 “우리의 고유 명절인 설날을
맞이하여 명절 분위기와 옛 정취를 느끼는 것은 물론, 자라나는 아이들이 알지 못했던 잊혀져 가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한다. 온 가족이 함께 명절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울을 찾는 많은 외국인들에게도
흥미로운 볼거리가 될 듯.
⊙ 알뜰하게 설 연휴 즐기기 프로젝트
 |
남산골 한옥 마을에서는 설 연휴가
시작되는 21일부터 24일까지 차례상 진설법 강좌와 세배 등 예절 강좌, 차례상 전시, 세화(歲畵, 설 그림) 증정, 가훈
써 주기 등의 강좌를 준비한 것은 물론 윷놀이 투호, 제기차기 등의 민속놀이를 체험할 수 있는 마당도 펼쳐진다. 설날인
22일에는 신년 맞이 굿, 23일에는 마당극(다시 온 취발이) 공연, 24일에는 신널뛰기(백운초등학교) 등 다채로운 행사를
준비하고 시민들을 기다리고 있다. | 운현궁은 22일 낮 12시 30분부터 1시간 동안 김뻐국 예술단이 출연하는
우리 가락 민요 한마당이 펼쳐지고, 1인당 1000원이면 토정비결을 볼 수 있다. 23일과 24일에는 낮 12시 30분과 2시 10분
두 번에 걸쳐 20분간 외대 풍물패가 영남 웃다리 사물놀이를 공연한다. 그밖에 22일과 23일 상설 행사로 덕담 나누기, 복조리
나누기 행사(선착순 100명), 민속놀이 체험 마당이 진행된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는 박물관 무료
관람, 궁중 복식 입고 사진 촬영하기, 새해 소망 편지 쓰기, 민속놀이 체험 및 어린이 인형극 ‘놀부가 기가 막혀’ 공연이
마련되어 있고, 서울 놀이마당에서는 22일 하루동안 창부타령,
청춘가, 매화타령, 태평가 등 경기민요와, 접시돌리기, 재주넘기, 무동 타기, 농악놀이 등 남사당 놀이, 그리고 남사당
줄타기 전수자인 권원택씨의 줄타기 등의 민속예술 공연 감상과 널뛰기, 윷놀이 등을 할 수 있다. |
| 
⊙ 겨울방학 맞은 아이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도
줄이어
 |
한강 시민공원
사업소는 27일부터 30일까지 초ㆍ중학생을 대상으로 ‘전통 연만들기 교실’을 연다. 서울시 지정
무형문화재인 연 만들기 전수자 노성규씨의 직접 지도로 가오리연, 방패연 등 전통연을 만들고 날려 본다. 선유도공원
강당에서 연날리기 풍속에 대한 강의 및 만들기 체험을 한 후 양화지구 한강시민공원에서 연날리기를 해보는 순서로 매일
100명이 참가할 수 있다. 인터넷으로 신청하고
재료비 3천원만 본인이 부담. 참가비는 무료다. 문의 : 3780-0808~9 | 서초구는 29일 하루 동안 어린이와 어머니 80 가족을 대상으로 '엄마와
함께 박물관 여행'을 개최한다. A코스는 성균관대박물관(조선시대
유교문화의 전반을 관찰할 수 있는 유물, 선사/고대~근/현대 문화예술품) → 신문박물관(신문의 역사, 신문제작체험) →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인간과 자연, 생명의 진화)으로 B코스는 이대·경희대 자연사박물관(광물·암석·화석,
동·식물채집 등 자연사 관련자료) → 짚풀생활사박물관(짚풀문화, 생활용구를 만들어보는 체험프로그램) →
경찰박물관(경찰의 역할과 복장,교통정보센터, 112신고센터 견학)으로 옮겨 가며 견학할 예정. 전화 접수해야 하며
참가비는 만원이다. 문의 : 570-6490~2
서울 남산 지구촌민속박물관은 오는 2월까지 한국전통 한지 생활민속전
및 아프리카 민속 문화축제를 개최한다. 2004년 국제 박물관협회(ICOM) 서울 총회 홍보전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이번
기획전은 ICOM 아프리카 회원국들의 의식주에 관련된 민속 유물 1천500여 점을 엄선 전시하고 있고, 한국 전통 한지와 관련된
생활민속전에서는 닥종이를 이용한 다채로운 인형들이 선보인다. 또 개관 6주년을 기념하고 새해맞이 인류화합과 평화통일 기원을 위한
지구촌 등불 축제에는 지구촌 희귀 등기구를 한자리에 모아 전시하고 있다. 문의 773-9590~1
경복궁 관리소는 겨울방학을 맞는 초등학교 4∼6년생을 대상으로
다음달 14일까지 매주 월, 수, 금, 토요일 1주 4회씩 5주일간 ‘어린이 궁궐 체험 교실’을 무료로 마련한다. 회당 40명이
참가하는 1일 교육으로 매회 오후 2시, 3시30분 두 차례 진행되며 학부모는 참여할 수 없다. 체험 교실은 경복궁의 역사와 궁궐
문화재 해설, 궁궐 생활 체험 및 건물 내부 견학, 봉사 활동 등의 프로그램으로 꾸며진다. 하루 전 전화로 예약하면 된다. 문의 :
723-4283.
또 경복궁 내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1년 내내 민속놀이 마당이 열릴 예정이므로 민속놀이를 즐긴
뒤 전시회 관람으로 마무리하면 새해 나들이로 제격. 원숭이해를 맞아 ‘갑신년 잔나비띠’ 기획전이 전시중이다. 2월
9일까지. 통일신라시대 유물을 비롯한 40여점의 십이지 및 원숭이 관련 유물을 선보인다. 1950~60년대 산골 마을의
의식주와 수렵, 약초 채집, 화전, 벌목, 양봉 등 관련 유물 300여점을 감상할 수 있는 ‘산촌’기획전도 2월 16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전시한다. 문의 : 734-1341, 1346 |
|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