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일어서려는 분들 곁엔 서울시가 있습니다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5.09.15. 00:00

수정일 2005.09.15. 00:00

조회 1,256


1천800억원으로 서민 긴급지원.. 4인 가족 기준 3개월간 월45만7천원 지원

서울시가 실직이나 개인파산, 부도 등으로 일시적인 경제위기를 겪고 있는 시민들의 생활안정과 경제적 재기를 위해 1천800억원을 긴급 지원한다.

시는 올 추경 예산안에 1천800억원의 서민 지원 예산안을 긴급히 마련해 지난달 말 서울시의회에 제출했고, 최근 원안대로 서민 지원자금이 시의회에서 통과됨에 따라 서민 긴급 지원이 활기를 띠게 됐다.

긴급 지원 자금에는 생계비 지원, 재개발 임대주택 제공, 일자리 제공, 학자금 제공 등이 포함돼 있다.

이명박 서울시장은 “최근 어려운 경제사정으로 서울시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이 작년에 비해 많이 증가했다. 다른 사업을 축소하더라도 우선 생존 위기에 처한 시민들을 지원해 경제적 재기가 가능하도록 하는게 시급하다.”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서민 경제를 살리기 위해 서울시는 우선 갑작스러운 실직이나 개인파산 등으로 당장 생계가 어려워진 가구를 대상으로 4인 가족 기준 월 45만7천원을 3개월간 지원하기로 했다.
총 지원금은 104억원으로, 기존 4억원이던 긴급생계비 지원금에서 100억원이 추가 편성됐다.

집이 압류되는 등 거리에 내몰릴 위기에 처한 시민들에겐 재개발 임대아파트가 6개월간 제공된다. 보증금과 임대료는 공공임대아파트 수준으로 보증금 2~3백만원, 월 임대료 3만원만 내면 된다.

6개월 후에는 재개발 임대아파트의 원래 수준인 보증금 1천300만~1천500만원에 월 임대료 15만원을 내면 계속 거주할 수 있다. 시는 주택 지원을 위해 서울시내 동서남북 권역별로 재개발 임대아파트를 200~300호씩 확보할 계획이다.

임대아파트 입주 대상자는 자치구에서 추천한 긴급지원 대상자 중 무주택 가구로 부양가족과 노약자가 많은 가족, 서울시 거주기간이 6개월 이상인 가구가 우선이다.

서울시는 이와 함께 244억원을 투입해 근로능력이 있는 2만1천300명을 대상으로 공공근로, 특별취로 등 임시 일자리를 제공한다.

그동안 SH공사 분양수익금으로 학비가 없어 학업을 계속할 수 없는 차상위계층 고등학생을 지원하던 하이서울 장학금도 올 하반기에는 20% 늘린 49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밖에 자금난을 겪고 있는 1만여 생계형 영세 소상공 업체에게 담보 없이 업체당 1천만원까지의 경영안정자금이 지원된다.

서울시는 긴급지원을 요청한 시민들을 대상으로 실태조사와 심의를 거쳐 늦어도 1주일 이내에 긴급 지원하고, 더욱 긴급한 상황일 경우엔 선 지원 후 심의 과정을 거칠 계획이다.

긴급지원 신청은 시내 522개 전 동사무소와 25개 자치구 사회복지과에서 본인은 물론 이웃, 친척, 통·반장 등 누구라도 방문 또는 전화로 신청할 수 있다.


하이서울뉴스 / 차현주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