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혀있던 선유도의 비밀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3.12.26. 00:00
![]() ⊙ 강물에 흐르는 것은 역사만이 아니었다 프랑스 철학자이자 작가였던 장 그르니에는 작품 ‘섬’에서 “육체적 열락을 느끼며 살수 있는 곳으로 섬(島)만한 곳이 있을까”라고 말했다. 섬은 고립의 공간이자, 허허로운 바다와 접한 자유로운 곳이라는 게 그의 지적이다. 장 그르니에처럼 사람들은 섬(島)하면 바다만 떠올리지만, 강 사이에 있는 것(하중도)도 어엿한 섬이다. 한강엔 그런 섬이 여럿 있다. 오늘은 선유도의 역사를 따라가 본다. 옛날 선유도는 시인들이 즐겨 찾던 곳으로 아름다운 절벽이 둘러쳐진 작은 봉우리로 이뤄진 섬이다. 선유봉이라고도 하고 중국 황하의 저주봉과 비슷하다 하여 저주봉이라 불려지기도 했다. 그토록 아름답던 섬을 일제 강점 때 홍수를 막기 위해 암석을 채취하여 여의도 비행장을 건설하는 바람에 모두 깎여졌다. 그 후 정수장으로 이용하였던 것을 2000년에 폐쇄하고 현재의 선유도 공원으로 거듭나 시민들로부터 큰사랑을 받고 있다.
⊙ 최초로 밝혀지는 ‘선유도의 비밀’ 이러한 사실을 ‘강서문화와 역사(98)’라는 책자에서 최초로 밝힌 손주영씨(국사편찬위 사료조사위원, 강서구청 근무)는 “진위야 알 수 없지만 우리 국문학사의 효시가 될 고조선의 ‘공무도하가’ 노랫가사의 무대배경이 대동강이 아니고 우리 한강의 양화도였다는 기록은 뜻밖이며 감회가 새롭다”면서 “결국 곽리자고나 여옥이 강서구(양천현) 사람이었고 ‘공무도하가’는 서울에서 만들어진 노래”라고 주장하고 있다.
곽리자고 처 여옥 양화도 견인몰 작 공후인 탄 공무도하곡운 藿里子高 妻 麗玉 楊花渡 見人沒 作 引 彈 公無渡河曲云 해석해보면 “곽리자고 처 여옥이가 양화도(선유도)에서 사람이 빠져 죽는 것을 보고 공후인을 지어서 공후를 탔다는 공무도하곡이 전해오고 있다”라는 문구다. 손주영씨의 주장이 사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이 역사적으로, 또 학계에서 어떻게 검증될지는 아직 모른다. 다만, 새로운 사실이 드러난 만큼 이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 ||||||
글|김해웅 도움말|손주영(국사편찬위 사료조사위원)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