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이 최우선이죠~”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5.03.21. 00:00
■ 정신건강상담 전화 급증…무료 상담 1577-0199 영화 ‘번지점프를 하다’, ‘주홍글씨’ 등으로 사랑받아오던 영화배우 이은주 씨가 얼마 전 목숨을 끊었다. 그녀의 자살 원인이 우울증이라고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서울시 광역정신보건센터에 따르면 1월 하루평균 5건에 불과하던 상담 요청자가 3월들어 최대 80건까지 늘어나는 등 상담 전화가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 광역정신보건센터는 자살 등과 같은 위기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상담과 건강증진사업을 담당하는 곳으로 2005년 1월 설립되어 24시간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상담을 원하는 이들은 1577-0199로 연락하면 무료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이 번호는 전국 광역정신보건센터와 연결되어 있어, 연락시 가까운 광역정신보건센터로 연결된다. 1,2월 통계자료에 따르면 상담자 230명 중 50% 가까운 108명이 우울증 관련 상담을 요청해와
이에 관한 사회적 문제가 심각함을 알려주고 있다.
■ 우울증, 주위의 관심과 지속적인 치료 필요 최근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울증 등 정신건강 이상을 호소한 이들이 남녀노소 각 계층에 퍼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군입대를 3개월 앞두고 있는 20세 남성 K씨는 초등학교 때부터 고교 졸업 때까지 ‘왕따’로 인한
우울증에 시달려 왔다. 전학을 수시로 할 정도였으며, 청소년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다. 30대 초반의 여성 P씨는 남편의 사업실패로 10억 가까운 빚을 지면서 정신적 충격을 받은 사례.
남편에 대한 배신감이 자살 시도로 이어졌으나 119의 도움으로 비극적인 상황을 벗어날 수 있었다. 부산에서 서울로 올라온 40대 남성 L씨는 주변사람들에게 잘못된 투자 정보를 주어 죄책감에 시달린
경우다. 이런 자괴감은 3차례 자살시도로 이어졌을 정도로 L씨에게는 치명적이었다. 전문상담원들은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해선 주위의 관심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혼자서 해결하기 보다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한다. ☞ 우울증 및 자살·위기 정신건강 상담 전화 : 1577-0199
| ||||
하이서울뉴스 / 조선기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