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출 청소년 위한
'중기보호쉼터' 개소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4.09.22. 00:00
■ 청소년 쉼터에서 진로 찾는다…의료비 혜택도
제공 “갈 데가 없으니까, 잘 데가 없으니까...” 가출 청소년들에게 가장 시급한 것은 ‘잘 곳’을 마련하는 것. 다급한 마음에 인터넷 채팅이나 길거리 헌팅 등을 통해 머물 곳을 구하다보니 청소년들은 가출에 이어 쉽게 탈선과 성매매의 늪에 빠지는 등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서울시는 최근 들어 가정해체 등으로 가출 청소년이 늘어나자, 이들이 안정적으로 머물 수 있는 쉼터를
제공해 탈선을 예방하고, 건전한 진로를 찾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새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지금까지 서울시가 운영해 온 청소년 전용쉼터는 신림 · 구로쉼터를 비롯해 강남쉼터, 노원쉼터,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소속 민간쉼터 3곳 등으로, 대부분 3개월 가량 머무를 수 있는 일시보호시설. 「중기보호쉼터」는 이처럼 가정복귀가 어려운 가출청소년이 1년간 머무르며 숙식을 제공받을 수 있는
곳으로, 개소에 앞서 이미 지난 7월부터 입소가 시작되어 현재 7명의 청소년이 공동체 생활을 하고 있다. 이밖에도 서울시는 쉼터에 입소한 가출 청소년들이 대부분 건강보험을 적용받지 못하는 점을 고려해,
이들에게 질병이나 부상의 진단·치료에 필요한 의료비도 지원할 계획이다. ■ 내달 ‘의료서비스’ 지원하는 이동차량 운영
한편 거리의 청소년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의료 서비스. 25인승 중형버스를 개조해 만든 이동 청소년 쉼터는 간이 상담실, 휴게실, 싱크대, 세면시설 등을
갖추게 된다. | ||
하이서울뉴스 / 이현정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