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5개 재개발구역 주상복합건물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4.03.17. 00:00

수정일 2004.03.17. 00:00

조회 2,221



활기 넘치는 도심 주거기능 회복 ‘기대’

2010년까지 4대문안 도심 상주인구가 8만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서울시는 어제, 청계천 복원으로 인해 도심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도심공동화 현상을 막고 인구유입을 촉진해 야간에도 사람이 사는 도심을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 시는, 현재 상업지구로 지정되어 있는 4대문안 중구 명동, 회현동, 장교동과 세종문화회관 뒤편의 종로구 도렴동 일대를 주거지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이 일대에 주상복합 아파트를 지을 경우, 주거복합건물의 주거비율이 높을수록 용적률이 낮아지는 용도용적제가 적용되지 않게 된다.
대신 용적률과 건물 높이에 대해 인센티브가 적용돼, 용적률은 주거비율에 따라 50∼150%까지 높아지고, 건물높이 또한 최고 150% 높아진다.


현재 도심 가로구역별 건물 높이는 ‘2001년 도심재개발기본계획’에 의해 50m, 70m, 90m로 제한을 받고 있지만, 앞으로 도심에 짓는 주상복합아파트는 인센티브가 적용되어 각각 75m, 105, 135m까지 지을 수 있게 된다.
최고 높이 135m는 35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명동 롯데백화점 수준이다.

또한 ‘도로변 건물의 경우 건물높이가 도로폭의 1.5배를 넘을수 없다’는 사선제한 규정도 적용받지 않게돼 주거중심의 도심재개발 사업이 활발히 전개될 전망이다.

서울시 주택국 진철훈 국장은 “용도용적제는 인구 공동화를 겪고 있는 도심에는 적합하지 않다. 도심에 거주 인구를 유입하기 위해서는 주상복합 건물 같은 형태가 적합하다”라며 “주상복합건물들이 들어서면 교통문제 해소뿐 아니라, 도심에 직장이 있는 시민들이 편하고 안전하게 근무지에서 바로 주거지로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0년까지 도심 상주인구 8만 된다

2003년 말 서울시내 상주인구는 5만 미만이다. 85년엔 11만에 달하는 인구가 거주했지만 18년만에 50% 이상 감소한 것이다.
때문에 주간에는 많은 인파가 집중하면서도 야간거주자가 감소하여 행정구의 존립을 불가능하게 하고, 출퇴근 시간마다 외각에서 유입되는 차량으로 인한 교통혼잡 문제 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었다.

서울시는 도심공동화 방지를 위해 어제 발표된 명동 외 4개 지역 이외에도 종로구 세운상가 일대, 원남동, 익선동 일대를 주거지역으로 추가 지정하고, 역사자원 보존, 문화ㆍ예술ㆍ보육 등 기여시설이나 보행편의시설을 설치할 경우에도 다양한 인센티브를 줄 방침이다.
시는 오는 5월까지 이 같은 내용의 도시환경정비 기본계획 재정비안을 마련해 시의회와 도시계획심의를 거쳐 계획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하이서울뉴스 / 차현주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