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의 마지막 자연 ‘작은 산’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3.08.28. 00:00
■ ‘작은 산’은 주민이 쉽게 찾고 자주 애용하는 ‘동네 산’ ![]() 우리들이 매일 찾는 동네의 ‘작은 산’ 들이, 조금 더 빨리 오르내리기 위해 과도하게 생긴 샛길등산로, 불법경작, 필요 이상의 체육시설물 때문에 신음하고 있다. 서울시 녹색서울시민위원회가 지난 5월부터 석달동안 도심의 ‘작은 산’ 42곳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동네의 ‘작은 산’들은 나무뿌리가 심하게 노출돼 있는 등 심하게 훼손돼 있었다. 주 등산로 이외에 ▶샛길 등산로 417곳 ▶배드민턴장 60곳 ▶체육시설물 184곳 ▶나대지 70곳 ▶불법 경작지 83곳 등이 여기저기 조성돼 있었다. ‘작은 산’이란 인근에 있어 지역 주민이 쉽게 찾고 자주 애용하는 산이라는 뜻을 강조하는 의미로 ‘큰 산’의 상대적인 개념이다. 녹지율이 약 26.5%인 서울시의 경우 면적 10만㎡(약 3만평)이상인 산은 ‘도시자연공원’으로, 10만㎡이하인 산은 ‘도시근린공원’으로 지정돼 있다. '작은 산'은 이같은 면적 10만㎡ 가량의 동네산을 말한다. ■ 노원구 영축산, 샛길 등산로 30곳 등 산림 훼손 심각해 ![]()
한편 서울시 녹색서울시민위원회는 2001년부터 산이 없는 영등포구와 송파구를 제외한 23개에 ‘산사랑회’를 구성하여 ‘작은
산 살리기 시민운동’을 적극 전개하고 있다.
|
|||||||||||||||||||||||||||||||||||||||||||||||||||||||||||||||||||||||||||||||||||||||||||||||||||||||||||||||||||||||||||||||||||||||||||||||||||||||||||||||||||||||||||||||||||||||||||||||||||||||||||||||||||||||||||||||||||||||||||||||||||||||||||||||||||||||||||||||||||
|
|||||||||||||||||||||||||||||||||||||||||||||||||||||||||||||||||||||||||||||||||||||||||||||||||||||||||||||||||||||||||||||||||||||||||||||||||||||||||||||||||||||||||||||||||||||||||||||||||||||||||||||||||||||||||||||||||||||||||||||||||||||||||||||||||||||||||||||||||||
하이서울뉴스 / 박영주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