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이 싫은 결식아동들에게 따뜻한 관심을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3.12.04. 00:00
아이들이 일요일이나 방학에는 학교에 가지않아 좋아할 거라 생각하지만 모든 아이들에게 다 해당되는 얘기는 아니다. 학교 급식도 없고 도시락을 주는 사회복지관도 쉬는 휴일은 '굶는 날'이라서 오히려 싫은 아이들도 있다. 이같은 결식아동들이 서울에만 5천378명에 이른다. 서울시는 대부분의 학교가 겨울방학을 시작하는 12월부터 내년 2월까지 방학이라 학교 급식을 받지 못하고, 끼니를 챙겨주는 어른이 없어 굶는 아이들을 위해서 겨울방학 특별 급식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경제적인 이유나 결손가정 등의 원인으로 끼니를 거르거나 거를 우려가 있는 아이들에게 식사를 제공함으로써 신체적·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서울시는 이미 학기 중에 취학 아동은 아침·저녁을, 미취학 아동은 3끼를 모두 제공함으로써 아이들이 굶는 경우가 없도록 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이같은 지원을 더욱 늘려 학기 중 뿐만 아니라 토·일요일, 공휴일, 방학 중에도 중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세끼를 모두 지원하기로 했다. ⊙ 도시락,부식,식권 등 휴일·방학에도 급식지원
식권을 배부하여 인근 식당에서 식사를 하거나, 자치구별로 도시락업체와 계약해 가정으로 직접 배달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각 자치구별 특성에 따라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지원하되, 가급적 현금을 지급하지 않도록 하여 아이들에게 실질적으로 급식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내년 사회복지 부문 예산을 올해보다 늘여, 그 중 결식아동 지원을 위해 70억원을 배정했다. | |||||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