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물질 남용 치료, 이렇게 돕습니다.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3.11.14. 00:00

수정일 2003.11.14. 00:00

조회 2,490



건강이 새로운 시대의 트랜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요가, 마라톤의 열풍은 건강함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추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육체적인 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건강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질남용' 예방과 치료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은평병원에서 물질남용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배이진 복지사는 "특히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빠르게 성장해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전환하는 불완전한 시기에 놓여있는 청소년들의 물질남용 문제는 성인들의 물질남용보다 더욱 심각하다"는 것이 청소년들은 주로 불안정한 시기에 대한 불안감, 친구의 유혹, 호기심 등으로 술, 담배 등의 약물에 접근하게 되는데, 아직 판단력이나 방어능력이 미흡해 약물을 한번의 경험하면 쉽게 중독으로 빠져든다고 한다.
이에 서울 시립 은평 병원을 비롯한 시내 각급 기관들은 청소년들의 물질 사용에 대한 예방 교육이 시급하다고 판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물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갖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약물 중독 상담사례

Q 담배를 끊고 싶어요.

고등학교 남학생인데 담배를 끊고 싶지만 빈번히 실패합니다.
그런데 오래 전부터 피워서인지 뜻대로 잘 안됩니다.
부모님도 알고 계셔서 더 미안하고 죄책감도 듭니다.
친구들은 뭐 그런 거 같고 신경 쓰냐고 그러지만 부모님 생각해서라도 꼭 끊고 싶습니다.

A 고등학생인데 오래 전부터 담배를 피워서 이제는 끊기 어렵게 되었군요. 친구들은 괜찮다고 하지만 부모님들에게 죄송하고... 그렇다고 끊을 자신은 없고요. 그래도 끊어 보기 위해 상담실에 도움을 청하고 있는 것을 보니 끊으려는 의지가 대단한 학생이군요.
일찍부터 담배를 피워서 이제 끊는다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무슨 일이 있어도 끊겠다." 는 결심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요. 금연학교가 있긴 하지만 학생이 금연을 하겠다는 결심을 했다면 어떻게 끊을 것인가 방법을 찾아야하겠지요? 우선 결심이 되셨다면, 담배를 피우는 학생과 같이 어울리지 않는 것이지요.
그렇다고 친구들을 아예 만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담배를 피우려고 하면 잠깐 자리를 피하는 것입니다. 또 다른 방법은 담배 대신에 껌이나 과자 같은 것을 입에 물고 있거나 항상 휴대하여 담배 피우고 싶은 욕구를 이런 방법으로 대신 해소시키는 것이지요. 또한 평소에 자연음식을 즐겨 드세요.
아침식사는 즐겁게 먹는 것이 중요한데, 과일, 곡류, 채소, 견과류등의 자연음식을 섭취하고, 물을 많이 드세요. 물을 많이 마실수록 담배 때문에 생긴 체내의 니코틴, 타르 등 나쁜 요소들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신경을 이완시켜 안정감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해요.
산책과 숙면을 통해 심신을 충분히 쉬도록 하고 긴장감에서 오기 쉬운 흡연욕구를 줄여 나가도록 하세요. 가장 중요한 것은 "끊을 수 있다 "는 믿음과 의지를 가지고 이러한 방법들을 실천해 가는 것입니다.
자료 출처 : YMCA 약물과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실

‘청소년 약물 오·남용 예방 교육’… 시립 은평 병원

은평 병원은 지난 10월 20일부터 오는 12월 20일까지 공공 보건 의료 사업의 일환으로 ‘청소년 약물 오·남용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은평 병원은 향후 서울시 교육청 및 학교 건강 관리소와 연계하여 물질 예방 교육을 확대 실시하고 청소년 대상 금연 교실 운영과 약물 사용으로 인한 치료 보호 대상 학생 교육을 강화할 예정이다.
‘예방 교육’은 정신과 전문의가 신청 학교를 방문하거나 신청 학교 학생들이 병원을 방문해 진행하고 ‘금연 교실’은 흡연 학생을 대상으로 은평 병원에서 금연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학교가 요청할 경우 1회 3일일정으로 금연 교육을 실시한다.
지난 7월부터 10월 말까지 은평 병원은 초중고생 1800여명에게 물질남용 예방교육을 실시해 왔다고 한다. 오는 11월 20일과 21일 이틀 동안 충암고 3학년 체험 학습 프로그램(1일 150명씩)을 은평 병원에서 진행하며 24일에는 용산 공고 전교생 1269명이 학교에서 교육을 받는다.

12월 3일부터 5일까지는 연서 중학교 흡연 적발 학생 8명을 대상으로 3일 일정의 금연 교실 또래 모임을 실시한다. 금연 교실은 흡연 강의와 니코틴 검사, VTR 시청 및 집단 토의, 사회극 공연, 수료식 등의 일정으로 구성돼 있다. 문의 300-8251∼2
은평 병원은 이밖에도 오는 28일 오전 10시 30분부터 12시까지 ‘인터넷 중독과 효율적인 대처 방안’을 주제로 하는 무료 공개강좌도 준비 중이다.
심각하게는 음란물 중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의 현실을 파악하고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이 강좌에는 지역 주민이라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문의 300-8286~8288

‘청소년 금연·금주 프로그램’… 서울시 학교 보건원

서울시 학교 보건원은 지난 3월부터 12월까지(방학 기간 제외) 1기당 4일 일정의 ‘청소년 금연·금주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학교장이 교육을 의뢰하는 흡연 또는 음주 중인 중고생을 대상으로 흡연과 음주의 폐해, 구강 보건, 호흡기 질환 등의 교육과 흉부 방사선 검사 결과 상담, 금연침 시술, 역할극 등 다양한 방식의 교육이 진행된다. 문의 399-9567

흡연 예방 교육 전문 프로그램을 개발·보급 … 청소년 보호 위원회

국무총리 산하의 청소년 보호 위원회는 지난 10월 중순 초등학교 및 중학교에서 대상자 수준에 맞게 체계적으로 흡연 예방 교육을 할 수 있는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했다. 이로 인해 그동안 학교 현장에서 자료 부족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던 흡연 예방 교육의 문제점이 다소 해결 될 것으로 보인다.
청소년 보호 위원회 보호지원과 흡연예방 프로그램 담당자는 “흡연을 시작하는 연령대가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로 낮아져 조기 예방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이같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프로그램은 기본 프로그램 → 심화 프로그램 → 강화 프로그램 등 3단계로 나뉘어 있어 대상 학생들의 상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초등학교는 40분 7회, 중학교는 45분 8회로 구성했다.

내용
중학생 프로그램
초등학교 고학년 프로그램
흡연 폐해
인식하기
담배는 정말 몸에 해로운가?
건강한 우리 가족은?
한번의 흡연은 왜 계속 이어질까?
담배란 도대체 무엇일까?
흡연이 정말 우리 몸에 나쁜가요?
흡연 유혹
극복하기
담배가 진정한 나다움을 찾는데
도움이 될까?
우리 모두 소중한 나를 만들어 볼까요?
담배가 스트레스를 해결해 줄 수
있을까?
담배, 싫다고 말할 수 있어요!
흡연의 유혹,슬기로운 거절 방법은?
담배 광고 내용, 과연 진실한가
금연 환경
만들기
담배를 끊는 가장 좋은 방법은?
우리는 금연 환경 지킴이죠?
우리 문제 스스로 해결해 볼까요?
담배 연기 없는 맑은 사회를 만들어 볼까요?

11월~1월까지 인터넷 금연홍보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10일부터 인터넷 금연홍보를 실시하고 있다. 이 캠페인은 내년 1월까지 3개월 동안 다음, 넷마블, 넥슨, 다모임, Maxmp3 등 청소년들의 접속빈도가 높은 포털, 게임, 음악사이트 등을 중심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이 기간동안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랑의 금연 카드메일 보내기”, “담배 꽁초를 잘라라” 등의 이벤트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벤트 행사 참가자를 대상으로 추첨을 통하여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LCD모니터 등 푸짐한 경품을 지급할 예정이다.

약물상담이 가능한 기관 및 치료전문병원

까리따스 알코올 상담센타(www.cacc.or.kr) 423-2180
복지와 사람들(www.hopeople.or.kr) 2679-9353-4
서울특별시립 동부아동상담소(www.bhang.seoul.kr) 2248-4567
새샘터 치유공동체(sjnfyc.x-y.net) 031-997-4516
약물청소년을 위한 강남지역 협의회(www.drugkiller.or.kr) 3411-5881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www.drugfree.or.kr) 2677-2245
국립서울병원(www.snmh.go.kr) 2204-0114
계요병원 청소년정신 의료센터(www.keyo.co.kr) 031-455-3333
서울특별시 학교 보건원(www.bogun.seoul.kr) 399-9567
서울특별시립은평병원(ephosp.seoul.go.kr) 300-8251
평온알코올약물클리닉(www.pycl.co.kr/index.htm) 2201-8258


하이서울뉴스 / 허은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