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해줄래? 남산 1.7km ‘국치길’ 조성
내 손안에 서울
발행일 2017.08.21. 15:37

남산총독관저(좌), 현재 기억의 터(우)
일제는 조선 얼굴에 해당하는 남산에 가장 격이 높은 조선신궁을 세우고 메이지 천황을 제신으로 숭배하게 했다. 조선 통치 중추인 통감부를 세우고, 일본인 집단 거주지를 조성한 곳도 남산이었다.
남산은 나라를 잃고 국토, 주권을 내 주어야 했던 치욕의 장소이면서, 해방 이후에는 중앙정보부가 설치되어 100년간 가까이 다가갈 수 없는 장소였다.
서울시는 이처럼 우리 민족과 격리된 채 역사적 흉터처럼 가려져 온 남산 예장자락 속 현장을 2018년 8월까지 1.7Km 구간 역사탐방길로 잇는다.
쓰라린 국권상실 역사 현장을 시민이 직접 걸으며 치욕의 순간을 기억하고 상처를 치유하자는 의미로 ‘국치길’이라 이름 붙였다.

`ㄱ`자 로고와 바닥 설치 예시
국치길 1.7Km는 ‘ㄱ’자 모양 로고를 따라 이어진다. 코스는 병탄조약이 체결된 ‘한국통감관저터’를 시작으로 김익상 의사가 폭탄을 던진 ‘조선총독부’, 청일전쟁 승전기념으로 일제가 세운 ‘갑오역기념비’, 일제가 조선에 들여온 종교 시설 ‘신사’와 ‘조선신궁’까지로, 발걸음을 옮기는 자체로 시대 감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재구성했다.
국치길 로고 디자인은 ‘길’의 ‘ㄱ’을 표현한 것으로 ‘ㄱ’은 한글 첫 자음이자 이 역사를 ‘기억’(ㄱ)하겠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보도블럭 모듈로 설치할 예정이다.
국치길 각 기점에는 표지석이 세워진다. 표지석 재료는 국세청 별관을 허물며 나온 일제 총독부 산하 체신사업회관 건물지 폐콘크리트 기둥이 쓰일 예정이다. 우선 한국통감부이자 조선총독부가 위치했던 서울애니메이션 부지에 설치된다.
탐방로 조성 후에는 역사문화해설사가 동행해 남산 역사, 문화, 인물에 대해 설명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국치길 코스
서울시는 107년 전 병탄조약이 체결된 국치의 날이기도 한 22일 오후 3시, 이 같은 역사탐방로 ‘국치길’ 조성계획을 발표하고 국치 현장 역사탐방 행사도 개최한다.
역사탐방 행사에는 김구, 이회영, 윤봉길, 백정기, 장준하 등 독립유공자 후손 약 30여 명이 함께 한다. 탐방에 앞서 성재창 트럼펫 명인 ‘애국가’, 비올리스트 김남중 ‘파가니니를 위한 오마쥬’ 연주가 펼쳐질 예정이다.
■ 국치길 코스 한국통감관저터 – 한국통감부터(서울애니메이션센터) - 노기신사터(남사원) - 갑오역기념터 – 경성신사터(숭의여대) - 한양공원비석 - 조선신궁터(구 남산 식물원)
|
문의 : 공공재생과 02-2133-8704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