뭣도 모르고 늙음이 찾아왔다

최경

발행일 2017.04.07. 14:33

수정일 2017.04.07. 17:16

조회 1,534

매화ⓒ이은경

방송작가 최경의 <사람기억, 세상풍경> (64) 나이든 건 미안한 걸까?

예견된 일이었다. 방송에 사자성어가 등장하면 곧바로 인터넷 포탈사이트의 검색어에 오를 때 짐작했어야 했다. 미련하게 그것도 모르고 신기해했다. ‘설마 이 사자성어 뜻을 몰라서 검색하는 건 아니겠지?’ 그런데 그거였다. 방송에 나오는 단어의 뜻이 뭔지 모르거나 정확한 뜻을 알고 싶어서 검색을 한 것이었다. 매주 방송을 제작하면서 막바지에 하는 일은 제목과 함께 마지막에 제작진의 생각을 담는 몇 문장의 메시지를 확정하는 일이다. 모두 모여앉아 머리를 맞대고 회의를 하며, 제목이 주제를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 그리고 마지막 메시지가 얼마나 인상에 남게 할 것인지 고심하고 또 고심한다. 시청자들은 흘려보낼 수도 있는 것인데도 제작진들은 머리를 쥐어짠다. 그래봤자 정작 방송을 보면 허무하게도 몇 초만에 훅 지나가버리고 만다. 그걸 알면서도 매번 모여 앉아 고민할 수밖에 없다. 그날도 제목을 놓고 이런저런 말들이 오갔다. 한 청년이 부모를 찾는 사연에 대한 제목을 고민하다가 내가 불쑥 떠올린 단어는 ‘혈혈단신(孑孑單身)’이었다.

“혈혈단신 ○○씨의 뿌리 찾기, 이건 어때요?”
“헉, 너무 옛날 느낌인데요. 혈혈단신 이런 단어 요즘 잘 안 쓰잖아요.”
“이걸 제목으로 하면 혈혈단신 단어가 검색어 순위에 오를걸요?”

늙었나 보다. 얼마 전부터 어떤 일상적인 단어를 쓰면, 후배들이 웃는다.

“선배님이 쓰는 단어는 참 고풍스러워요. 어릴 때 할머니한테 들어봤던 말들이 새삼 생각나요.”

처음엔 농담처럼 들렸다. 낄낄거리면서 함께 웃었는데 몇 번 반복되다 보니 나도 어쩔 수 없이 꼰대가 돼 가나보다 싶기도 해서 씁쓸하다. “예전에 내가 프로그램 할 때는...”, “예전에 비슷한 아이템 한 적이 있는데...”, “나도 예전엔 그랬는데...” 과거가 자꾸 튀어나온다. 다행히 착한 후배들은 잘 들어준다. 심지어 재미있어 하면서 (어쩌면 재미있는 척 해주면서) 이야기를 들으며 마지막엔 코멘트를 잊지 않는다.

“선배님 이야기는 꼭 소설에 나오는 것처럼 극적이에요. 옛날이야기 듣는 것 같아요.”

가슴에 또 화살이 날아와 박힌다. 분명 고의로 쏜 화살은 아닌데 나 혼자 화살로 만들어 상처를 받는다. 아, 늙었나보다. 나이 들수록 입은 닫고 지갑은 열어야 한다는 웃지 못 할 농담이 이제 내 문제가 돼 버렸다. 개그프로그램에서 꼰대, 아재 부장이 등장해 거침없고 되바라지기까지 한 젊은 사원에게 조롱거리가 되는 모습에 방청객들이 통쾌해하며 환호하는 걸 보면 한편으론 무섭기까지 하다. “어디서 꼬박꼬박 말대답이야?”, “말을 시키니까 대답을 하죠~” 요즘 트렌드가 뭔지도 모르고 시대에 뒤떨어진 농담이나 하고 그러면서 스스로 유머러스하다고 착각하는 사람이 부장이고 직장 상사이고 선배라는 사람이라는 식이다.

늙었다. 어느새 그렇게 돼 버렸다. 누구도 나이 드는 것을 거스를 수 없다. 다만 어떻게 나이 드는가 그것이 문제일 뿐이다. 존경받는 건 바라지도 않는다. 존경할 만큼 뭔가 이뤄놓은 것이 없다는 걸 잘 알기 때문이다. 그저 서로 불편해하지 않는 범위를 스스로 잘 찾는 것, 내가 알게 모르게 축적해온 노하우를 잘 전해주는 것. 나이 들어서 고리타분해지는 것이 아니라 보다 지혜롭고 현명해지는 것, 그래서 필요한 사람으로 남는 것, 이것마저 노욕으로 오인되지 않게 하는 것... 그러고 보면 참 살아낸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나이 들수록 섭섭한 게 많아진다는 말이 왜 나왔는지 이제 조금 알 것 같다. 한 소설에서 이런 대목이 나온다.

“너희 젊음이 너희의 노력으로 얻은 상이 아니듯 내 늙음도 나의 잘못으로 받은 벌이 아니다.”

뭣도 모르고 젊음을 소비했고 뭣도 모르고 늙음이 찾아왔다. 한 인생이 상도 벌도 아닌 자연의 법칙으로 흘러간다는 사실이, 이 흐드러진 봄날 새삼 가슴을 친다.

#최경 #사람기억 #세상풍경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