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왜 서울시를 주목하는가?
발행일 2016.12.26. 16:47

서울시는 `에너지 살림도시`를 표방하며 시민과 함께 깨끗한 에너지를 생산하고 절약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저는 예테보리가 서울의 성공에 상을 준 것이 아니라 서울의 도전에 상을 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공유도시는 완성된 것이 아닙니다. 이제 시작했을 뿐입니다.” (박원순 시장 2016 ‘예테보리 지속가능 발전상’ 수상 수락연설문 중)
올해 11월, 박원순 서울시장이 아시아에서 두 번째이자 한국인 최초로 ‘예테보리 지속가능발전상(Gothenburg Award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을 수상했다. 환경과 사회 가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노력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주어지는 이 상은,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과 코피 아난 전 UN 사무총장 등이 수상한 바 있다.
박원순 시장은 수상자 프레젠테이션에서 “서울시가 2012년부터 ‘공유도시 서울’ 프로젝트를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프레젠테이션 제목도 ‘우리가 몰랐던 경제, 오래된 미래, 공유도시 서울’이다. ▲시민 전용공간으로 제공하는 ‘시민청’ ▲1만3,000건의 행정정보를 상시 개방한 ‘서울정보소통광장’ ▲기후변화와 에너지 문제를 시민과 공유하는 ‘원전하나줄이기’ 캠페인 ▲‘나눔카 사업’ 등이 공유경제의 대표적인 사례로 소개됐다.
2012년 9월 박 시장은 세계 최초로 ‘공유도시 서울’을 선언했다. “도시화로 실종된 오랜 전통의 공유문화를 회복해 서울의 사회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취지에서다. 2015년 6월 1일 발간된 계간 <세계와 도시>에 실린 송미경 서울연구원의 글에 따르면, 서울시가 내세운 공유도시는 ‘시민, 공공, 기업의 소통과 협력이 원활하여 공유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도시’를 뜻한다. 공유도시의 구체적인 목표로는 ▲자원 활용성 극대화 ▲공동체 복원 ▲도시경제 활성화가 꼽힌다.

서울시청 지하, 시민 전용공간으로 제공하고 있는 `시민청`
이후 서울시의 ‘공유도시’를 향한 도전은 세계적인 관심을 받아왔다. 올해 3월 20일 영국 유력 일간지 <가디언>은 세계에서 가장 큰 환경행사로 꼽히는 ‘지구촌 전등 끄기(earth hour)' 행사를 맞아 ‘최고의 지속가능한 도시 7곳’을 선정했는데, 서울시는 이 목록에 오슬로, 보고타 등 6개 도시와 함께 이름을 올렸다.
<가디언>은 해당 기사에서 서울에 대해 “오픈데이터의 선두 도시이자 세계에서 가장 빠른 초고속 인터넷망을 자랑하는 도시”로 소개하고, “박원순 시장의 지도 아래 2017년까지 버스와 지하철을 포함한 공공지역 전역에 무료 와이파이를 보급한다”고 서술했다. 또 서울시가 공유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제공하는 서울시 온라인 플랫폼 ‘공유허브’ 정책에 대해 소개했다.

영국 `가디언`에 실린 서울시 관련 기사.
<가디언>은 작년 6월에도 ‘시민의 삶을 바꾸는 혁신적인 시장들’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서울에 대해 자세히 소개한 바 있다. 해당 기사에서도 서울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 통신망을 가지고 있다는 점과 공유경제 정책이 강조됐다. 그 외에도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나
지난 3월 9일에는 프랑스 지방정부, 의회, 지역위원회 등 21개 지방 기관들로 구성된 ‘Regional Attractiveness and Place Marketing Chair’에서 주최하는 ‘플레이스 마케팅(Place Marketing) 포럼’에서 서울시가 혁신적인 민관협력 도시 정책으로 선정, 수상한 바 있다.
국내에서도 서울시에 대한 평가가 상승세다. 서울시는 ‘2016년 문화일보 지방자치단체 종합평가’에서 최고 단계인 S등급을 받았다. 16개 광역자치단체 중에서 S등급을 받은 건 서울시와 대전시뿐이다. 해당 평가는 <문화일보>와 한국지방자치학회 및 관련학회 전문가들이 16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최초 지자체 평가다. 평가 위원장은 임승빈 명지대 행정학과 교수가 맡았다. 서울시는 ▲전략 ▲인사 및 조직 ▲지역경제 ▲복지 부문에서 최고단계인 S등급을 받았고, 환경 부문에서는 그 다음 단계인 A등급을 받았다.
공유경제 사업의 일환인 ‘한지붕 세대공감’은 2014년 국민대통합위원회로부터 국민통합정책부문 우수사례로 선정되기도 했다. 한지붕 세대공감은 빈집을 가진 어르신과 무주택자인 대학생이 참여하는 주거공유 사업이다.

국민통합정책 우수상을 받은 `한지붕 세대공감` 사업
박 시장은 ‘예테보리 지속가능발전상’ 수상 수락 연설문에서 “상은 서울시장인 제가 대표로 받지만, 이 상의 주인공은 당연히 천만 서울시민”이라며, “저는 시민들과 함께할 것입니다. ‘공유도시 서울’은 오늘부터 다시 시작입니다”라고 앞으로의 포부를 밝힌 바 있다. 국내는 물론 전 세계 모범도시로 꼽히는 ‘공유도시 서울’의 내일이 더욱 기대된다.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