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자료] “노숙인 백신 접종률 30%에 불과...별도 대책 세워야” 보도 관련
서울특별시 대변인
발행일 2021.06.17. 15:00

◆ “노숙인 백신접종률 30%에 불과...” 관련(2021.6.16.)
- 서울시는 보건복지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지침에 따라 노숙인시설 입소자 및 이용시설 이용인, 거리노숙인 총 2,953명 중 본인동의를 받은 노숙인 2,529명을 접종대상자로 등록하여, 이중 2,339명(79.2%)이 1차 백신을 접종하였음. * “노숙인 백신접종률이 30%에 불과”라는 것은 사실과 다름
- 기사내용은 홈리스행동이 노숙인 중 거리에서 지내는 노숙인 101명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29.7%가 백신접종을 했다고 응답했다는 내용으로, 시설입소자 등을 제외한 ‘거리노숙인 일부(596명 중 101명)’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임
- 또한, 1차 백신접종인원 중 거리노숙인은 256명으로 접종대상자로 등록된 거리노숙인 596명 대비 43.0%로 백신접종 동의자 341명 대비 75.1% (256명) 접종완료함
※ 거리노숙인 대상자 596명, 접종동의자 341명, 1차 접종완료자 256명
- 1차 접종기간은 4.12.부터 5.31.까지였으며, 2차 접종은 7월부터 진행예정임
※ 보건복지부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지침상 노숙인 시설 입소자 및 종사자가 우선접종 대상이며, 서울시의 경우 보건복지부 건의(’21.1.28, ’21.3.3.)를 통해 거리노숙인도 종합지원센터 이용자로 등록하여, 백신접종 시행
◆ “질병관리청의 접종 후 귀가·휴식과 냉찜질 같은 대처 매뉴얼은 노숙인들을 고려하지 않는 내용이라고 지적했다”는 보도 관련
- 서울시의 경우 백신접종 거리노숙인의 경우 종합지원센터 내 일시보호공간에 보호하거나 본인이 거부하는 경우 고시원 등 임시주거를 제공하여 이상징후 등을 관찰하고 있음
· 거리노숙인 중 백신접종 후 시설에서 일시 보호한 노숙인 33명, 임시 주거 제공자는 14명으로, 총 47명의 노숙인을 보호했으며, 이상징후 대상자는 없었음
- 또한 시설별로 접종 후 발열, 근육통 발생에 대비 해열 진통제 등 의약품을 구비·지급하였으며, 예방접종 담당자를 따로 두어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을 모니터링하였음
◆ “백신접종은 주로 온라인을 통해 이뤄지고 있고, 연락처가 없으면 예약은 물론 접종관련 안내조차 받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할 때 홈리스가 개별적으로 백신접종을 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라는 보도관련
- 1차 백신접종기간에는 시설 입소자와 이용자에게는 게시판 홍보, 대상자 상담 등을 통해 안내·홍보하였으며, 거리노숙인의 경우 현장 거리상담 등을 통해 접종을 안내하고 신청받았음
- 1차 접종기간에 백신접종을 하지 못한 노숙인의 경우 다른 일반 국민들과 마찬가지로 질병관리청 코로나19 백신접종 예약사이트를 통해 예약이 가능함
- 노숙인 종합지원센터(3개소)에서 거리상담, 급식지원 시 이용 노숙인을 대상으로 백신접종을 적극 안내하도록 하겠음
문의전화 : 02-2133-7484
- 서울시는 보건복지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지침에 따라 노숙인시설 입소자 및 이용시설 이용인, 거리노숙인 총 2,953명 중 본인동의를 받은 노숙인 2,529명을 접종대상자로 등록하여, 이중 2,339명(79.2%)이 1차 백신을 접종하였음. * “노숙인 백신접종률이 30%에 불과”라는 것은 사실과 다름
- 기사내용은 홈리스행동이 노숙인 중 거리에서 지내는 노숙인 101명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29.7%가 백신접종을 했다고 응답했다는 내용으로, 시설입소자 등을 제외한 ‘거리노숙인 일부(596명 중 101명)’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임
- 또한, 1차 백신접종인원 중 거리노숙인은 256명으로 접종대상자로 등록된 거리노숙인 596명 대비 43.0%로 백신접종 동의자 341명 대비 75.1% (256명) 접종완료함
※ 거리노숙인 대상자 596명, 접종동의자 341명, 1차 접종완료자 256명
- 1차 접종기간은 4.12.부터 5.31.까지였으며, 2차 접종은 7월부터 진행예정임
※ 보건복지부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지침상 노숙인 시설 입소자 및 종사자가 우선접종 대상이며, 서울시의 경우 보건복지부 건의(’21.1.28, ’21.3.3.)를 통해 거리노숙인도 종합지원센터 이용자로 등록하여, 백신접종 시행
◆ “질병관리청의 접종 후 귀가·휴식과 냉찜질 같은 대처 매뉴얼은 노숙인들을 고려하지 않는 내용이라고 지적했다”는 보도 관련
- 서울시의 경우 백신접종 거리노숙인의 경우 종합지원센터 내 일시보호공간에 보호하거나 본인이 거부하는 경우 고시원 등 임시주거를 제공하여 이상징후 등을 관찰하고 있음
· 거리노숙인 중 백신접종 후 시설에서 일시 보호한 노숙인 33명, 임시 주거 제공자는 14명으로, 총 47명의 노숙인을 보호했으며, 이상징후 대상자는 없었음
- 또한 시설별로 접종 후 발열, 근육통 발생에 대비 해열 진통제 등 의약품을 구비·지급하였으며, 예방접종 담당자를 따로 두어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을 모니터링하였음
◆ “백신접종은 주로 온라인을 통해 이뤄지고 있고, 연락처가 없으면 예약은 물론 접종관련 안내조차 받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할 때 홈리스가 개별적으로 백신접종을 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라는 보도관련
- 1차 백신접종기간에는 시설 입소자와 이용자에게는 게시판 홍보, 대상자 상담 등을 통해 안내·홍보하였으며, 거리노숙인의 경우 현장 거리상담 등을 통해 접종을 안내하고 신청받았음
- 1차 접종기간에 백신접종을 하지 못한 노숙인의 경우 다른 일반 국민들과 마찬가지로 질병관리청 코로나19 백신접종 예약사이트를 통해 예약이 가능함
- 노숙인 종합지원센터(3개소)에서 거리상담, 급식지원 시 이용 노숙인을 대상으로 백신접종을 적극 안내하도록 하겠음
문의전화 : 02-2133-7484



기사 관련 태그
태그
#서울시 #설명 #해명 #설명자료 #해명자료 #해·설명자료 #서울시 해·설명자료 #노숙인 #보건복지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질병관리청 #백신 #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 #브릿지종합지원센터 #영등포보현종합지원센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