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설화와 허준의 발자취를 따라 '공암나루길'
발행일 2021.03.16. 11:41
서울특별시 한강사업본부에서 매년 4~11월까지 한강을 도보로 탐방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12개의 <한강 역사탐방> 도보 코스 중 한강 설화와 허준을 주제로 한 제10코스 <공암나루길>을 소개한다.
9호선 가양역 1번 출구로 나오면 곧바로 허준 테마 거리와 이어진다. 허준에 대한 소개 및 허준 캐릭터 조형물이 다양한 건강 상식을 전하고 있다. 또한, 허준의 동상과 동의보감, 허준 테마 거리에 대한 소개 등을 볼 수 있다. 허준박물관 뒤편에 해발 31m의 야트막한 산이 있다. 탑산은 1990년에 허준 선생의 호를 따 구암근린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공원 중앙의 어의를 입은 허준 선생이 진료하는 동상에서 명의의 위엄이 느껴진다. 공원 내 호수는 1982~1986년 올림픽대로 건설로 한강의 일부분이 잘리며 형성된 곳이다. 호수에는 바위가 여럿 있는데 그중 호수 끄트머리에 높이 12m의 풍채가 가장 좋은 바위섬을 볼 수 있다.
허준박물관 후문 근처에는 공암나루 터가 있다. 표석에 ‘양천(陽川)과 행주(幸州)를 잇던 나루터 일명 북포(北浦)나루라고 하였다.’라는 문구로 보아 조선 시대의 한강나루였음을 알 수 있다.
한강 역사탐방 제10코스 <공암나루길>의 마지막 목적지는 허준박물관이다. 허준 박물관은 한의학의 대가였던 구암 허준 선생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고자 2005년 3월 23일에 개관한 공립 박물관이다. 1층 주차장과 2층 로비, 3층 전시관, 4층 약초원과 옥상정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3층 전시관은 허준기념실과 약초약재실, 의약기실 등 상설전과 특별전으로 나누어져 있다. 개관 16주년을 기념해 2021년 3월 23일부터 10월 3일까지 <나무, 건강을 담다> 특별전이 허준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진행된다. 박물관 4층에서는 120여 종의 약초와 북한산을 조망할 수 있다.
9호선 가양역 1번 출구로 나오면 곧바로 허준 테마 거리와 이어진다. 허준에 대한 소개 및 허준 캐릭터 조형물이 다양한 건강 상식을 전하고 있다. 또한, 허준의 동상과 동의보감, 허준 테마 거리에 대한 소개 등을 볼 수 있다. 허준박물관 뒤편에 해발 31m의 야트막한 산이 있다. 탑산은 1990년에 허준 선생의 호를 따 구암근린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공원 중앙의 어의를 입은 허준 선생이 진료하는 동상에서 명의의 위엄이 느껴진다. 공원 내 호수는 1982~1986년 올림픽대로 건설로 한강의 일부분이 잘리며 형성된 곳이다. 호수에는 바위가 여럿 있는데 그중 호수 끄트머리에 높이 12m의 풍채가 가장 좋은 바위섬을 볼 수 있다.
허준박물관 후문 근처에는 공암나루 터가 있다. 표석에 ‘양천(陽川)과 행주(幸州)를 잇던 나루터 일명 북포(北浦)나루라고 하였다.’라는 문구로 보아 조선 시대의 한강나루였음을 알 수 있다.
한강 역사탐방 제10코스 <공암나루길>의 마지막 목적지는 허준박물관이다. 허준 박물관은 한의학의 대가였던 구암 허준 선생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고자 2005년 3월 23일에 개관한 공립 박물관이다. 1층 주차장과 2층 로비, 3층 전시관, 4층 약초원과 옥상정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3층 전시관은 허준기념실과 약초약재실, 의약기실 등 상설전과 특별전으로 나누어져 있다. 개관 16주년을 기념해 2021년 3월 23일부터 10월 3일까지 <나무, 건강을 담다> 특별전이 허준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진행된다. 박물관 4층에서는 120여 종의 약초와 북한산을 조망할 수 있다.
허준 캐릭터 조형물이 다양한 건강 상식을 전하고 있다. ⓒ최재원
가양역 1번 출구부터 허준박물관까지 이어지는 허준 테마 거리 ⓒ최재원
환자를 진료하는 허준 선생 동상 ⓒ최재원
허준박물관 내 3층 허준기념실 ⓒ최재원
■ 허준박물관
○ 위치 : 서울 강서구 허준로 87
○ 운영시간 : 평일 10:00 - 18:00, 주말&공휴일 10:00 - 17:00 (월요일, 설날, 추석 당일 휴관)
○ 입장료 : 일반 1,000원, 학생 500원, 통합관람(허준박물관+겸재정선미술관) 일반 1,300원, 통합관람(허준박물관+겸재정선미술관) 학생 700원
○ 홈페이지 바로가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