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도성의 동남문은?
발행일 2021.02.05. 16:28
한양도성박물관 기획전 <광희문, 수구문, 시구문>
광희문은 한양도성의 동남문으로, 숭례문과 흥인지문 사이에 건설되어 조선시대 도성의 동쪽으로 드나들던 백성들의 주된 출입구이다. 광희문은 빛이 멀리까지 사방을 밝힌다는 의미였으나 물길이 만난다는 뜻의 수구문으로 더 많이 불렸다. 구한말에는 시체를 옮기는 입구라는 시구문으로 험악하게 불리기도 했다. 광희문 밖에 있는 신당동은 혼을 달래주는 무당들이 신당을 모시고 살았던 데서 유래한다.
광희문은 백성들의 주로 사용하던 문이지만 병자호란 때는 인조가 적군을 피해 가마를 타고 광희문을 통해 나갔던 왕의 피난길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에는 문루가 철거되고 해방 이후에는 성벽 일부가 철거되었다가 지금은 원위치에서 15m 옮긴 자리에 이전, 복원됐다. 이번 전시회는 광희문의 역사와 변화상을 살펴보는 시간을 제공한다. 관람을 위해서는 서울시공공서비스예약을 통한 사전예약이 필요하다.
광희문은 백성들의 주로 사용하던 문이지만 병자호란 때는 인조가 적군을 피해 가마를 타고 광희문을 통해 나갔던 왕의 피난길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에는 문루가 철거되고 해방 이후에는 성벽 일부가 철거되었다가 지금은 원위치에서 15m 옮긴 자리에 이전, 복원됐다. 이번 전시회는 광희문의 역사와 변화상을 살펴보는 시간을 제공한다. 관람을 위해서는 서울시공공서비스예약을 통한 사전예약이 필요하다.

한양도성박물관 기획전 <광희문, 수구문, 시구문> ⓒ이병문

시구문으로 불리는 광희문 ⓒ이병문

죽은 사람의 혼을 모시는 작은 가마인 <영여> ⓒ이병문

광희문의 역사를 알수 있는 기획전 ⓒ이병문
■ 한양도성박물관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283
○ 전시명 : <광희문, 수구문, 시구문>
○ 전시기간 : 2020. 12. 15 ~ 2021. 3. 7
○ 운영시간 : 10:00 ~ 18:00
○ 휴무일 : 매주 월요일, 1월 1일
○ 관람료 : 무료
○ 공공서비스예약 홈페이지(바로가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