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러시아 공사관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5.08.31. 00:00
시민기자 최근모 | |
| |
예전 국사책에서 구한말 역사를 공부할 때 아관파천[俄館播遷] 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을 것이다.
어제 간 곳은 그 아관파천의 현장인 구 러시아 공사관 이였다. 내 게으름에 문제도 있지만 정동 길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정동교회나 시립미술관과는 달리 이곳 구 러시아 공사관은 그 위치를 가늠하기 쉽지가 않다. 성 프란체스코 회관과 예원학교 사이에 난 언덕길을 올라가면 정동공원이 나온다. 이곳에서 고개를 들어
위를 쳐다보면 언덕위로 우뚝 솟은 새하얀 탑을 볼 수가 있다. 국사책에서 조그만 사진으로 보던 모습을 실제로 보니 느낌이 새로웠다. 탑으로 접근하는 계단은 제법 위용이 있었는데 공원을 위해 만들어 놓은 것인지 아니면 이 탑을 위해 만들어 놓은 것인지는 확실치가 않았다. 그러나 계단이 끝나고 탑만 남은 구 러시아 공사관 입구에 서자 지금까지의 환상이 모두 깨졌다. 나무에
가려진 탑은 가까이에서도 그 모습을 확실히 보기가 쉽지 않았고 게다가 입구는 들어오라는 것인지 들어오지 말라는 것인지 모를 정도로
어수선했다. 게다가 이곳에 쓰레기를 무단으로 버리지 말라는 누군가의 싸인펜으로 쓴 안내판은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난감했다. 물론 동네에 저런 것을 둔다면 어느 정도 어울릴 수 있겠으나 사적 제253호로 지적된 엄연한 역사 유적지에는 맞지 않는 것이다. 건물 연혁으로 봐도 100년이 넘었으며 구한말 외세의 침탈 앞에서 풍전등화처럼 흔들리던 우리의 모습을 보여주는 역사적 의미가 깊은 곳이다. 최소한의 주변정리가 필요하다. 일단 가까이 다가가 탑의 전면부를 살펴보았다. 3층으로 된 탑은 일층에는 출입구가 몇 개 나 있었다. 구리빛 파이프가 지면에서 3층까지 연결되어 있었고, 3층에는 아치형 창문이 나 있었다. 이곳이 아마 전망대 역할을 했지 않나 유추해본다. 앞마당에는 이 탑과 붙어있던 건물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흔적이 남아 있었다. 아관파천이 일어났던
당신에는 꽤 컸으리라 생각되지만 6.25 전쟁 당시 모두 소실되고 현재 남아 있는 것은 전망탑 뿐이다. 1896년 2월 11일 새벽에 고종은 경복궁 신무문으로 몰래 빠져 나온다. 일국의 왕이 자신의 왕궁에서 나오는데도 몸을 숨기고 탈출을 감행해야 했으니 당시의 한반도를 둘러싼 일본의 침탈행위가 얼마나 위세를 떨쳤는지 알 수 있다. 고종은 정동에 위치한 러시아 공사관으로 몸을 피해 향후 일년 가량을 이곳에서 머문다. 그동안 위세
등등하던 친일내각은 무너지고 러시아를 등에 업은 친러 세력이 등장하게 된다. 고종은 다음해인 1897년 경운궁(덕수궁)으로 옮겨간 후 대한제국을 선포하게 된다. 그러나 이미 기운
국운은 그로부터 얼마가지 않아 일본에 의해 국권을 상실한 채 일제 강점기가 시작된다. 답사를 마치고 길을 내려오는데 길가 옆 공연장에서 난타를 본 한 무리의 일본인 관람객들이 쏟아져
나왔다. 유쾌한 공연을 보고 모두 만족한 듯 웃음이 떠나갈 줄 몰랐다.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